기악곡 중에서 콘체르토(Concerto 협주곡)와 소나타(Sonata)는 아주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그 형식에 있어서도 최고의 것이라 하겠다.

 

기악곡은 보통 절대음악(Abxolute Music)과 표제음악(Program music)으로 나뉘어진다.

 

표제음악이란,

기악곡으로서 문학적인 내용을 표현한 음악이라 하겠는데, 그것은 낭만파 음악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으며 절대음악과는 대립되는 음악으로 일정한 관념, 즉 시적인 것, 회화적인 것들과의 결합으로써 음악에서 받아들일 수 있도록 마련된 음악인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절대음악은 음 그 자체의 아름다움이 어떤 형식에 의해 작곡된 음악이다. 다시 말해서 음악 이외의 사상이나 예술을 표현하다든가 묘사하지 않는 음악이며 기분과 감정도 역시 암시하지 않는 음악이다.

 

이것은 기악에 국한된 음악이라고하겠는데, 여기서 설명하려는 콘체르토와 소나타는 물론 절대음악에 속한다.

 

16세기 전반에 콘체르토라는 말이 아탈리아에서 하나의 음악 용어로 사용되었을 때는 성악과 기악의 앙상블(Ensemble)로서의 중창 또는 중주라는 말로 통했다.

 

그런데 16세기 말 이래 솔로 양식이 대두하게 되지 콘체르토는 라틴말의 어의가 상기되어 그 뜻으로 사용하기에 이르렀다. 이것이 18세기 중엽에는 바로크 시대의 전성기를 통해 협주적인 앙상블과 2개의 음향체 간의 투쟁이란 것과 같이 쓰이게 되었다.

 

그러다가 18세기 후반에 이르러 콘체르토는 독주 혹은 독주군과 합주의 대립으로 된 기악곡에 대한 명칭이었다. 20세기에는 바로크 시대와 그네상스 시대의 작품과 그 부활에 따라 합주라는 뜻에서 콘체르토라는 이름의 악곡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이 이른바 협주곡이다.

 

그런데 바로크 시대의 기악곡을 위한 협주곡을 보면 우선 콘체르토 그롯소(Concerto grosso, 합주협주곡)을 들 수 있다. 관현악은 두 개의 그룹으로 나위어져 있는데, 소수의 인원으로 조직된 독주부는 콘체르티노(Concertino)와 관현악의 그룹으로 구분된다. 이 둘이 대화풍으로 서로 응답하면서 연주해 나가는 형식의 음악이다.

 

18세기 초에 이탈리아의 토렐리와 비발디 그리고 독일의 바흐 등에게 계승되어 마침내 고전파에 의해 새로운 형태로 나타나게 됭ㅆ다. 이것이 소나타 형식에 첨가되어 발달하여 제1악장에 사용되었다.

 

이렇게 발전하여 결국 독주 악기 하나에 오케스타라가 협연하는 응용 악식인 소나타(Sonata)를 연주하는 협주곡으로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