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일반적으로 조성을 표기해 줄때는 뒤에 장조나 단조를 붙여줍니다.

 

일반적으로 (항상 그런건 아닙니다.) 조성의 경우 대문자로 쓰면 장조, 소문자로 쓰면 단조입니다.
in C의 경우는 다 장조, in c의 경우는 다 단조입니다.
하지만 항상 이걸 지켜서 표기해 주지는 않으니 주의하셔야됩니다.

 

2. OP. 는 작품번호로 번역되고 보통은 그냥 '오피'라고 읽습니다만, 작품 번호라고 읽어도 괜찮습니다.

 

No.의 경우는 같은 형식의 곡을 여려 곡 썼을 때 붙인 번호로 보통 "제 X번" 이라고 읽습니다.
교향곡 제 5번, 피아노 협주곡 제 21번 같은 경우가 No.로 표기된 숫자들입니다.
두 번호가 다른걸 의미하므로 둘 다 읽어주어야 되죠..

 

예를 들어 "Beethoven Symphony No. 9 in D minor, Op. 125" 같은 경우는 
"베토벤 교향곡 제 9번 라단조 작품번호 125번" 이라고 읽으시면 됩니다.


유명한 합창 교향곡이죠.

작품 번호에 해당되는 Op. 는 특정 작곡가의 경우 다른 번호를 쓰는 경우가 많습니다.
바흐는 BWV(바흐 작품번호), 헨델은 HWV(헨델작품번호), 하이든은 Hob, 모차르트는 K(KV)(쾨헬번호), 리스트는 S, 비발디 RV, 슈베르트 D(도이치 넘버) 등 다양합니다.
이런 작품 번호는 주로 알파벳을 그대로 읽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르게 읽는 방법은 괄호 안에 써놨습니다.

 

3. 위에 베토벤 합창 예를 들어놓은 것 처럼 읽으면 됩니다.

 

주로 곡의 형식 / 형식에 따른 번호 (No.) / 조성 / 작품번호 / 부제 / 악장 / 빠르기말 / 순서로 읽습니다.
위의 요소중 몇 개는 없는 경우도 있으나 저 순서대로 읽으면 큰 문제는 없을겁니다.

Symphony no.6 in b minor, Op.74 "Pathetique"
이건 "교향곡 제 6번 나 단조 작품번호 74 비창" 입니다. 차이코프스키 작품이죠.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