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재 접속자
  • Counter
  • 전체 : 31,396,440
    오늘 : 37
    어제 : 1,413

    클래식 상식 - 클래식 음악의 상식에 관한.....

    글 수 69
    번호
    제목
    글쓴이
    공지 클래식 음악을 꼭 들어야하는 이유 file
    오작교
    5205   2012-12-05 2016-11-10 13:55
    공지 클래식과 명연(名演) 명반(名盤)의 의미
    오작교
    6477   2010-11-12 2016-01-19 17:52
    29 음악감상을 위한 예비지식 - 관현악Orchestra) file
    오작교
    2070   2014-08-05 2017-08-16 13:30
     
    28 하이든의 교향곡
    오작교
    1553   2014-08-21 2014-12-02 17:42
    하이든의 교향곡 하이든의 교향곡들이 인기가 높아지자 다른 작곡가들이 작곡한 교향곡들을 하이든의 작품으로 가장하여 출판한 사례가 많았다. 이로 인해서 하이든이 정확하게 몇 곡의 교향곡을 썼는지 아직도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으나 대략 106곡 이상으...  
    27 슈베르트 교향곡에서 7번이 없는 이유
    오작교
    2232   2014-10-05 2014-12-02 17:39
    슈베르트 교향곡 전집을 사서 듣거나 슈베르트 교향곡을 번호순대로 찾아 듣다보면 이상한 것이 1,2,3,4,5,6,8,9번 이렇게 8개 교향곡만 있고 7번 교향곡이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위 칼뵘의 슈베르트 교향곡 전집 역시 마찬가지로 7번이 없다. 6번과 8,9번...  
    26 음악감상을 위한 예비지식 - 콘체르토(Concerto)와 소나타(Sonata) - 1
    오작교
    1732   2015-03-05 2015-03-05 16:02
    기악곡 중에서 콘체르토(Concerto 협주곡)와 소나타(Sonata)는 아주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그 형식에 있어서도 최고의 것이라 하겠다. 기악곡은 보통 절대음악(Abxolute Music)과 표제음악(Program music)으로 나뉘어진다. 표제음악이란, 기악곡으로서 문학...  
    25 음악감상을 위한 예비지식 - 콘체르토(Concerto)와 소나타(Sonata) - 2
    오작교
    1795   2015-03-05 2015-03-05 16:32
    소나타 형식(Sonata Form) 제1부 : 제시부(Exposition) 제1테마 : 으뜸조(主調) 가령 C 장조, 제2테마 : 딸림조(屬調) 으뜸조가 C장조일 때 G장조. 제2부 : 전개부(Development) 제시부에 나타난 테마의 변주로 발전한다. 제3부 : 재현부(Recapitulation) 제1...  
    24 음악감상을 위한 예비지식 - 교향시(交響詩, Symphonic Poem)
    오작교
    1828   2015-03-06 2015-03-06 13:33
    교향시(Symphonic Poem) 모든 문화가 다 그렇듯이 음악 문화 또한 예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시대의 흐름을 따라 부단히 변모하여 지금에 이른 것이다. 그것은 정치적으로나 경제적인 뒷받침 혹은 자연 환경과 민족의 특성에 따라 양상을 달리하고 있다. 뿐만 ...  
    23 음악감상을 위한 예비지식 - 모음곡(組曲, Suite)
    오작교
    1713   2015-03-07 2015-03-07 19:49
    모음곡이란 몇 개의 곡을 묶어 모은 기악곡이라 할 수 있다. 몇 개의 악곡을 같이 모은다는 것은 보통 소나타나 교향곡과 같지만 모음곡은 교향곡이나 소나타처럼 곡 상호간에 내면적인 연결이 없으며 단지 성격이 다른 곡을 대조시킨 것에 지나지 않는다. 모...  
    22 음악감상을 위한 예비지식 - 실내악(Chamber Music)
    오작교
    1829   2015-03-07 2015-03-07 12:28
    실내악은 흔히 실내에서 연주하는 음악으로 생각하기 쉽지만 그 정의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여러 모로 변모하여 오늘에 이른다. 실내악은 16세기, 나아가서는 지금으로부터 300년 전 17세기의 이탈리아 음악에서 그 유래를 찾아볼 수 있다. 그것은 당시 귀족들...  
    21 음악감상을 위한 예비지식 - 절대음악과 표제음악(Absolute Music & Program Music)
    오작교
    2010   2015-03-07 2015-03-07 19:50
    음악에는 절대음악과 표제음악이 있는데, 이 둘은 서로 대립된 개념을 가지고 있다. 절대음악은 단적으로 말하면 음악 이외의 사상은 표현하지 않을뿐더러 그것을 묘사하지도 않는다. 그 표현 수단에 있어서도 회화나 문학 같은 음악의 여러 자매 예술, 또는 ...  
    20 음악감상을 위한 예비지식 - 서곡과 전주곡(Overture and Prelude)
    오작교
    2226   2015-03-07 2015-03-07 20:57
    서곡(序曲, Overture) 기악곡 중에서 서곡과 전주곡(Prelude)도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는 비교적 대중이 이해하기 쉬울 뿐 아니라 매우 친근감이 드는 음악이다. 서곡에는 보통 2개의 종류가 있는데, 본래는 오페라(Opera), 오라토리오(Oratorio)...  
    19 음악감상을 위한 예비지식 - 발라드(譚詩曲, Ballade)
    오작교
    1926   2015-04-12 2015-04-14 11:16
    악곡의 종류가 무수하고 자유로운 형식의 매력 있는 기악곡으로 발라드(譚詩曲)라는 곡이 있다. 이것은 14세기 경 이탈리아에서 시와 음악이 중요한 형식의 하나인 발라타(Ballata)라든가 독일의 발레데 등 무도가(舞蹈歌)로서의 내용으로 쓰였던 것이다. 그런...  
    18 음악감상을 위한 예비지식 - 디베르티멘토(嬉遊曲 Divertimento)
    오작교
    1808   2015-04-12 2015-04-14 11:13
    디베르티멘토(嬉遊曲 Divertimento) 18세기 후반에 즐겨 쓰던 이기악곡은 이탈리아 말로 「오락」이라는 뜻의 한 모음곡이라고 할 수 있다. 형식은 대단히 자유롭고 4-10의 대비적인 짧은 악장으로 되어 있다. 그 편성은 3중주, 4중주, 5중주, 6중주 등의 실...  
    17 음악감상을 위한 예비지식 - 세레나데(小夜曲 Serenade)
    오작교
    2712   2015-04-12 2015-05-17 08:55
    세레나데(小夜曲 Serenade) 세레나데는 저녁의 음악이라는 뜻으로서 밤의 노래(夜曲, 小夜曲) 등으로 불려 왔다. 성악, 기악 할 것 없이 본래 애정과 존경을 바치는 사람에게 보내는 밤의 음악을 말한다. 성악의 세레나데는 애인의 창 밑에서 간단한 악기로 연...  
    16 음악감상을 위한 예비지식 - 민요(民謠, Folk Song)
    오작교
    1996   2015-05-21 2021-08-27 14:14
     
    15 음악감상을 위한 예비지식 - 환상곡(幻想曲, Fantasia)
    오작교
    1694   2015-05-17 2015-05-21 11:18
     
    14 음악감상을 위한 예비지식 - 랩소디(狂詩曲, Rhapsody)
    오작교
    1907   2015-05-18 2015-05-18 13:58
     
    13 음악감상을 위한 예비지식 - 즉흥곡(卽興曲, Impromptu) 2
    오작교
    1878   2015-05-19 2015-12-29 14:14
     
    12 음악감상을 위한 예비지식 - 연습곡(鍊習曲, Etude)
    오작교
    1739   2015-05-20 2015-05-20 09:41
    연습곡(鍊習曲, Etude) 이것은 연주 기교를 배울 목적으로 쓴 곡인데, 기술을 보이면서도 시정(詩情)을 담은 명곡으로 점차 변모해 갔다. 그 구성은 보통 세도막 형식으로 되어 있다. 쇼팽은 이것을 연주회에서도 연주할 수 잇도록 예술적인 높은 내용을 가진 ...  
    11 음악감상을 위한 예비지식 - 재즈(Jazz)
    오작교
    2173   2015-05-20 2015-05-20 10:06
     
    10 크로스 오버와 퓨전
    오작교
    3044   2016-05-17 2016-05-17 10:42
    음악에서 크로스오버와 퓨전이란 용어가 자주 사용된다. 요요마가 바비 맥퍼린과 재즈를 연주하고, 로얄 필하모니가 <비틀스>의 팝을 연주하며, 베를린 필하모니가 <스콜피온스>의 헤비 메틀을 연주한다. 그런가 하면 락 그룹들이 비발디의 <사계>를 연주하기...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