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베르트 교향곡에서 7번이 없는 이유
슈베르트 교향곡 전집을 사서 듣거나 슈베르트 교향곡을 번호순대로 찾아 듣다보면 이상한 것이 1,2,3,4,5,6,8,9번 이렇게 8개 교향곡만 있고 7번 교향곡이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위 칼뵘의 슈베르트 교향곡 전집 역시 마찬가지로 7번이 없다. 6번과 8,9번이 있으면 당연히 7번도 있어야 하는데 7번 교향곡이 없다니 그이유는?
처음엔 D.759 [미완성교향곡]이 미완성이었기 때문에 슈베르트의 가장 마지막 교향곡일 줄 알고 D.944 [그레이트]를 7번, D.759[미완성]을 8번이라고 했었다. 그러나 나중에 D.944 [그레이트] 가 더 나중에 작곡되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번호를 7번에서 9번으로 옮겨 버리게 된다.
그 후 단순한 스케치 상태였던 [E장조 교향곡](D729, 1821년)을 어떻게 슈베르트의 작품 목록 속에 위치시킬 것인가의 문제가 불거지면서 다시 작품의 성립 연대순으로 번호가 재배치 되었다. 따라서 성립 연대순에 따라 [E장조 교향곡]을 7번, [미완성 교향곡]을 8번, [그레이트 교향곡]을 9번으로 부르게 되었고, 이것이 오늘날 보편적으로 일컬어지는 슈베르트의 교향곡 번호로 정착되었다.
그런데 [E장조 교향곡](D729, 1821년)는 단순 스케치상태라 실제로 연주가 불가능하다. 일부는 슈베르트가 스케치로 남겨 놓은 D.729를 오케스트라로 편곡해서 새롭게 7번이라고 하고 있으나 이 곡은 슈베르트가 스케치로 남겨 놓은 것을 편곡했을 뿐이므로 7번으로 인정을 잘 받지 못하고 있고 음반도 거의 없다.
오토 에리히 도이치의 신작품 목록에는 [E장조 교향곡]이 실제로 연주가 불가능한 작품인 것을 고려해 번호를 삭제하고 [미완성 교향곡]과 [그레이트]에 각각 이전의 7번과 8번 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가끔씩 [교향곡 8번]과 [9번]을 [7번]과 [8번]으로 표기하는 경우를 볼 수 있는 것은 7번이었던 [교향곡 E장조]를 삭제한 오토 에리리 도이치 신작품 목록 번호를 따른 탓이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일반적으로는 7번은 비어 있고, 8,9번이 D.759[미완성]과 D.944[그레이트] 인 것으로 통용되고 있다.
Symphony No. 1 in D major, D. 82
Symphony No. 2 in B flat major, D. 125
Symphony No. 3 in D major, D. 200
Symphony No. 4 in C minor ("Tragic"), D. 417
Symphony No. 5 in B flat major, D. 485
Symphony No. 6 in C major ("Little C Major"), D. 589
Symphony No. 8 in B minor ("Unfinished"), D. 759
Symphony No. 9 in C major ("The Great"), D. 9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