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돌아가기
  • 아래로
  • 위로
  • 목록
  • 댓글

하이든의 교향곡

오작교 2927

0
하이든의 교향곡

하이든의 교향곡들이 인기가 높아지자 다른 작곡가들이 작곡한 교향곡들을 하이든의 작품으로 가장하여 출판한 사례가 많았다. 이로 인해서 하이든이 정확하게 몇 곡의 교향곡을 썼는지 아직도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으나 대략 106곡 이상으로 추정되고 있다.

하이든의 교향곡은 대부분이 에스테르하지 궁정을 위해서 작곡되었으나 전체적인 작품 목록으로 볼 때 이들 교향곡들은 세 가지 부류로 나눌 수 있다.

(a) 에스테르하지 궁정에 들어가기 전 잠시 모로친 궁정에 있었을 때 작곡된 5개의 교향곡
(b) 에스테르하지 궁정을 위해 작곡된 제6~81번 교향곡
(c) <파리 교향곡>, <런던 교향곡>을 포함하여 개인적으로 위촉받은 교향곡

초기 교향곡들은 일정하게 표준적인 악장 구조를 유지하지 못하였다. 4악장으로 구성된 곡도 몇 곡 있지만 대부분의 초기 교향곡은 전고전주의 신포니아에서 유래한 빠름-느림-빠름의 3악장 구조로 되어 있다.

제21번(1764)과 22번(1764)은 Andante-Allegro-Minuet-Presto로 되어 있으며 바로크의 교회 소나타 형식과 유사하다.
각 악장은 같은 조로 되어 있고 2부분 형식이다 그러나 제3번(1762)은 Allgro(G장조), Andante moderato(G단조), Allgro(G장조)의 표준적인 고전 교향곡의 악장 구성을 따르고 있고, 각 악장은 장단조가 교체되는 조성 구조로 되어 있다.

1761년, 에스테르하지 궁정에 들어가서 작곡한 제6~8번 교향곡들도 고전형식의 4악장 구조이다. 7번은 2개의 바이올린과 첼로로 된 트리오 소나타의 악기 편성과 동일하고, 콘체르티노(concertino)의 기능을 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볼 때 이 작품은 바로크의 쿤체르티노(concertino)와 유사하다. 제6~8번에는 각각 , , 등의 제목이 붙어 있는데, 제목과 같은 표제적인 특성이 음악에서 발견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은 하이든의 초기 교향곡들은 새로운 고전양식과 바로크적인 옛 양식이 자주 혼합되어 나타난다. 관현악 편성에서는 여전히 하프시코드를 사용하고 있다.

1770년경까지 하프시코드는 하이든 교향곡의 필수적인 악기로 나타난다. 초기 50여 개의 교향곡의 관현악 편성을 보면 일반적으로 2개의 오보에, 2개의 호른, 현악기와 하프시코드가 있는 콘티누오로 구성된다. 제20번 이후의 작품부터는 다른 악기들이 간헐적으로 삽입되는데 제20번에는 2개의 트럼펫이, 22번에는 2개의 잉글리시 호른(English horn)이 들어 있다. 제70번을 시작으로 하여 1779년 이후의 작품에는 플루트가 지속적으로 편성되어 있다.

1760년대의 교향곡에는 실험적인 요소들이 많다. 대표적인 예로 제31번(D장조)에는 당시 교향곡에서 일반적으로 2개의 호른을 사용한 것에 비해 4개의 호른을 사용하고 있고, 첫 악장도 독주 호른으로 시작하기 때문에 'Horn signal'이라는 별명이 붙여졌었다.

1760년대 말에 이르면서 하이든은 보다 내면적인 감정을 표현하기 위하여 단조의 조성으로 된 교향곡을 작곡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단조 교향곡은 구양식을 탈피해서 새로운 질풍노도 양식으로 도입하려는 하이든의 의지가 보여지는 작품들이다.

1768~1773년까지 하이든은 전과 달리 많은 단조 교향곡들 (제26, 39, 44, 49, 52번)을 썼다. 1771년부터 작곡된 교향곡 제42~48번, 50~52번, 54~56번, 65번은 초기 교향곡들보다 규모가 크다. 화성은 더욱 풍부해졌고 악상 변화가 빈번하며 느린 악장에서는 현악기에 약음기를 사용할 만큼 감정으 표현을 극대화시키고 있다.

조성의 선택에서도 18세기로서는 예외적이라고 할 수 있는 F#단조(제45번), B장조(제46번), F단조(제49번)등을 사용하였다. 제45번 <고별>교향곡은 제1악장 F#단조, 제2악장 A장조, 제3악장 F#단조로 되어 있는데 이러한 조성 변화도 흔치 않은 예이다. 마지막 끝부분의 Adagio에서 연주자들은 자신의 연주가 끝나면 악기를 정리하고 보면대 위의 촛불을 끄고 퇴장해 버리며 단지 두 명의 연주자만 남아서 작품을 끝맺기 때문에 <고별>교향곡이라는 별명이 붙었다. 이처럼 악기편성을 축소해 나간 이유는 휴가 중에 있는 에스테르하지 공작에게 연주단원들이 휴가를 받아 빨리 집으로 돌아가고 싶다는 간청을 전하기 위한 것이었다. 제45번은 악기 편성 뿐만 아니라 제1악장의 발전부에 새로운 주제를 도입시키고 있다. 이것은 하이든으 교향곡 중에서도 유일하게 발견되는 창작기법이기도 하지만 이 당시의 다른 고전음악에서도 흔하지 않은 일이었다.

이밖에도 1780년대의 교향곡에서 하이든은 때때로 마지막 악장에 론도 소나타(rondo sonata)형식을 사용하였다. 1782년에 작곡한 제77번의 마지막 악장에 처음으로 론도 소나타 형식을 사용했는데 이는 기본적으로 7개의 부분으로 된 론도(ABACABA)와 유사하다. 처음의 ABA는 제시부, C는 발전부, 마지막 ABA는 재현부로 취급된다. 론도 소나타 형식은 하이든보다 모차르트의 작품에서 먼저 나타났다.

1785년에서 이듬해까지 파리에서의 연주회를 위해 작곡된 파리 교향곡(제82번~87번)과 1787~1788년 사이에 작곡한 5개 교향곡(제88~92번)은 하이든으 성숙기를 대표하는 교향곡들로 고전 교향곡의 모델로 간주되는 작품들이다. 82번과 85번 등 몇 곡은 작품 속의 악구(phase)에 나타난 특징 때문에 별명을 갖고 있다. 82번은 춤곡같은 마지막 악장에 단조로운 저음반주가 나온다고 해서 'Lours(곰)'이라는 별명이 붙었고, 85번은 여왕 마리앙투아네트(Marie Antoinette)가 좋아했던 프랑스 선율의 변주곡이 나온다고 해서 'La Reine(여왕)'이라는 별명이 붙었다.

교향곡 제88번~92번은 대부분이 위촉작품으로 그 중 가장 유명한 작품은 옥스퍼드대학에서 명예박사 학위를 받을 때 헌정한 제92번 <옥스포드>교향곡이다. 이 기간에 작곡된 교향곡들에는 첫 악장에 느린 도입부가 나타나고, 마지막 악장에는 소나타 형식이나 론도 소나타 형식을 사용하는데 특별히 대위법적인 기법들이 많이 나타난다. 제88번으 마지막 악장의 카논은 이러한 예를 반영하여 준다. 교향곡 제93~98번, 99~104번은 두 차례의 런던 방문 때에 작곡된 곡들이다. 12개에 달하는 이들 교향곡은 런던의 청중들을 위해 작곡되었다고 해서 '런던 교향곡'이라 하기도 하고, 음악 흥행을 주선하는 잘로몬(Salomon)의 협조하에 작곡되었다고 해서 '잘로몬 교향곡'이라고도 한다. 이 작품들은 고전 교향곡의 정수이자 하이든 교향곡으 최고의 작품들이다. 오늘날 하이든을 대표하는 교향곡들은 대부분이 이12개의 교향곡을 가리킨다.

이 교향곡들은 전형적인 고전 소나타 형식으로 작곡되었지만 대부분이 1악장에 프랑스 서곡에서 유래한 느린 도입부를 사용하였다. 도입부의 조성은 교향곡 본래의 조성으로 시작되지는 않는다. 104번은 D장조이지만 도입부는 D단조로 시작한다. 긴 도입부는 코다에서 다시 확대, 발전시키므로 작품의 균형감을 잃지 않게 한다.

하이든은 민속 선율에서 주제를 선택하기도 하였다. 103번의 1, 2악장과 104번의 마지막 악장은 민속 선율에서 주제를 차용한 것이다. 제99, 100, 103, 104번의 제1주제는 선율적 내용이 아니라 조성의 변화에 의해 딸림조로 제2주제에서 다시 나온다. 이와 같은 주제의 설정은 전형적인 고전 소나타 형식에 기초한 것이다.

런던 교향곡들 중에는 2악장의 특징 때문에 별명이 붙여진 교향곡들이 있다. 101번은 2악장에서 시계소리와 같은 규칙적인 리듬 때문에 '시계'라는 별명이 붙었고, 94번은 2악장에서 조용한 주제가 흐르다가 약박에서 갑자기 포르테(f)가 나오기 때문에 '놀람'이라는 별명이 붙여졌다. '런던 교향곡'들의 악기 편성은 이전의 교향곡들보다 크고 다양하다. 2개의 트럼펫과 팀하니는 모든 '런던 교향곡'에 들어 있고, 100번 <군대>교향곡에서는 트라이앵글, 심벌즈, 큰북이 2, 4악장에 삽입된다. 마지막 6개의 '런던 교향곡'에서는 102번만을 제외하고 2개의 클라리넷이 사용된다.

하이든의 교향곡에는 바로크, 전고전주의, 고전주의에 이르는 다양한 음악적 요소가 전부 들어 있다. 하이든은 초기부터 많은 실험적인 교향곡을 발표하다가 12개의 런던 교향곡에 이르러 고전주의의 완숙한 음악형식을 실현한 교향곡을 탄생시켰다. 악기 편성도 크고 다양해졌을 뿐만 아니라 주제의 전개에서 호모포니와 대위법을 음악재료에 따라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음악은 색채감이 넘치고 장대하여졌다. 교향곡에 나타난 하이든의 창작기법과 실험정신은 교향곡을 고전음악의 최고의 위치로 올려놓았고 모차르트, 베토벤을 비롯한 후기의 교향곡 작곡가들에게도 큰 영향을 미쳤다.
공유
0
댓글 등록
취소 댓글 등록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삭제하시겠습니까?

목록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클래식 음악을 꼭 들어야하는 이유 오작교 12.12.05.17:35 7008
공지 클래식과 명연(名演) 명반(名盤)의 의미 오작교 10.11.12.18:09 8673
67
file
오작교 22.10.11.10:23 1691
66
file
오작교 22.10.11.10:11 1756
65
file
오작교 22.10.11.09:52 1741
64
normal
오작교 22.01.28.10:24 1894
63
normal
오작교 22.01.28.10:01 2063
62
normal
오작교 16.05.17.11:03 3411
61
normal
오작교 16.05.17.10:49 5756
60
normal
오작교 16.05.17.10:40 4219
59
normal
오작교 15.05.21.09:31 3043
58
normal
오작교 15.05.20.10:06 3170
57
normal
오작교 15.05.20.09:41 2770
56
normal
오작교 15.05.19.17:13 2833
55
normal
오작교 15.05.18.13:58 2974
54
normal
오작교 15.05.17.16:59 2743
53
normal
오작교 15.04.12.11:53 3775
52
normal
오작교 15.04.12.10:13 2849
51
normal
오작교 15.04.12.09:52 3095
50
normal
오작교 15.03.07.20:57 3336
49
normal
오작교 15.03.07.19:50 3173
48
normal
오작교 15.03.07.12:28 2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