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도민요

민요란 옛부터 민중들의 입에서 입으로 전해내려오는 우리나라의 소박한 노래로 그 전파범위에 따라 토속민요와 통속민요로 나누어지며 지역에 따른 선율의 특성(토리)에 따라 경기민요(경토리), 남도민요(육자배기), 서도민요(수심가토리), 동부민요(메나리토리), 제주민요(제주토리)로 나누어집니다.


토속민요(土俗民謠)와 통속민요(通俗民謠)
민요는 그 전파범위에 따라 토속민요와 통속민요로 나뉘어집니다. 토속민요란 상여소리, 김매기소리, 모내기소리 등 특정 지방에서만 불리어지는 노래로 그 지방 특유의 가락을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이며 가사와 선율이 소박하고 향토적인 노래입니다. 또한 수심가, 창부타령 등의 통속민요는 토속민요와 달리 직업적인 소리꾼에 의해 불려지던 노래로 특정 지역에 국한되지 않고 널리 퍼져 있으며 가사와 선율이 화려하고 세련되어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토리에 따른 분류
지방마다 그 지방 특유의 방언이 있듯이 우리나라의 민요는 지방마다의 특유한 선율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지방 특유의 선율을 토리라고 하며 토리에 따른 음악적 특징과 분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경기민요는 서울, 경기지역과 충청도의 일부지역을 포함하는 지방의 민요로 평조가락이 많아 맑고 깨끗하며 경쾌하고 분명하다. 또한 음 빛깔이 부드럽고 유창하며 서정적이다.

노래가락, 창부타령, 아리랑, 긴아리랑, 이별가, 청춘가, 도라지타령, 사발가, 베틀가, 태평가, 오봉산타령, 양류가, 방아타령, 자진방아타령, 양산도, 한강수타령, 경복궁타령, 박연폭포(개성난봉가), 닐리리야, 군밤타령, 는실타령, 풍년가, 건드렁타령, 천안삼거리 등

남도민요는 전라남북도를 비롯하여 충청도 일부를 포함하는 지역의 민요이다. 판소리와 산조를 키워낸 남도의 민요는 음악구조가 단순하고 가락이 서정적인 다른 지역의 민요에 비해 보다 풍부하고 극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으며 낮은 소리는 떨어주고 중간소리는 평으로 내고 높은 소리는 꺾는 목을 쓰는 공통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새타령, 육자배기, 자진육자배기, 농부가, 자진농부가, 흥타령, 진도아리랑, 날개타령, 까투리타령, 둥가타령, 개고리타령, 강강술래 등

서도민요는 황해도와 평안도 지방의 민요이다. 남도민요에 비해 청(pitch)이 높고 중간 음에서 격렬하게 떨면서 숨가쁘게 몰아치다가 하강하는 창법이 마치 탄식하는 듯한 느낌을 주는 서도민요는 미묘한 꾸밈음이나 서도민요 특유의 조름목 등을 악기로 나타내는 것이 어려워 기악반주와 함께 노래하는 것이 드물다.

<평안도민요> 수심가, 엮음 수심가, 긴아리, 자진아리(타령), 안주애원성, 배따라기, 자진 배따라기 등 <황해도민요> 산염불, 자진염불, 긴난봉가, 자진난봉가, 사리원난봉가, 병신난봉가, 숙천난봉가, 몽금포타령 등

동부민요는 태백산의 동쪽인 강원도, 함경도, 경상도 일대의 민요를 말하며 지역에 따라 창법과 음계, 꾸밈음에 차이를 보인다. 경상도민요는 빠른 장단이 많이 쓰여 흥겹고 경쾌하며 강원도 민요는 산골의 정취가 어린 소박하고 애수에 찬 노래가 많고 함경도민요는 오랜 세월 역사에서 소외되어왔던 지역의 정서를 반영하듯 탄식조나 애원조의 구슬픈 노래가 많다.

<경상도민요> 밀양아리랑, 울산아가씨, 쾌지나칭칭나네, 보리타작소리(옹헤야), 상주모심기소리, 튀전타령, 골패타령, 담바구타령 등
<강원도민요> 강원도 아리랑, 정선아리랑, 한오백년 등
<함경도민요> 신고산타령(어랑타령), 애원성, 궁초댕기 등

바람 많고, 돌 많고, 여자가 많다고 하여 삼다도라 불리는 제주도에는 민요 또한 육지의 어느 지방보다 많다. 다른 지방에 비해 유난히 일노래가 많은 제주도의 민요는 특유의 사투리와 소박한 가락이 육지의 노래와는 다른 독특한 맛을 낸다.

오돌또기, 이야옹타령, 이어도 산아(해녀노래), 이어도 한라, 영주십경, 검질매는 노래, 남방아 노래, 웡이자랑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