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돌아가기
  • 아래로
  • 위로
  • 목록
  • 댓글
  • 설정
  • 스킨 관리

뉴에이지의 역사

오작교 1340

1

뉴에이지의 역사

 


80년대 초의 뉴에이지 음악은 조지 윈스턴으로 대표되는 순수어쿠스틱 솔로 연주곡들이었다. 피아노 솔로곡으로 조지 윈스턴 외에 데이빗 란쯔(David Lanz)와 마이클 존즈(Michael Jones)가 스타로 자리메김을 하고 있었다.

마이클 헤지스(Michaek Hedges),윌리암 애커만(William Ackerman),알렉스 드 그라스(Alex De Grassi) 등은 솔로 기타리스트로 엮시 큰 인기를 얻고 있었다. 그러나 85년부터 앨범을 발표하면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한 프라이빗 뮤직(Private Music)의 음악들은 뉴에이지계에 새로운 파격을 가했다. 프로그레시브나 락계의 거물급 뮤지션들을 포진시킨 후 전자음과 드럼비트를 이용한 새로운 음악을 만들어냈다.


  전자음의 화려한 사운드,일렉트릭 기타의 거친 음색,드럼과 베이스의 강한 비트 등 어느 모로보나 기존의 뉴에이지 음악과 판이하게 달랐다. 그러나 이런 음악이 뉴에이지로 분류되었다. 상당히 의문스러운 점이 아닐 수 없다. 프라이빗 뮤직의 음악을 자세히 살펴보면 어느 정도 뉴에이지적인 요소가 있기는 하다. 패트릭 오헌(Patrick O'Hearn)이 고대의 신화적 신비로움을 전자음에 접목시킨 점이나 앤디 섬머즈(Andy Summers)와 같은 기타리스트는 동양적인 사운드와 일렉트릭 기타의 절충을 시도한 점등은 뉴에이지 뮤지션다운 발상들이다.

그러나 이런 점들만으로 뉴에이지 음악으로 분류하기에는 기존의 뉴에이지 음악에 비해 너무나 파격적이었다. 그렇다고 프라이빗 뮤직을 기존에 존재하는 어떤 장르로 분류하는 데에도 어려움이 많았다. 가장 비슷한 장르로 프로그래시브를 들 수 있기는 하다. 그러나 80년대 들면서 프로그래시브계는 극도로 침체하고 반대로 당시 뉴에이지의 물결은 엄청나게 거셌다.

결국 80년대의 엄청난 뉴에이지 돌풍,그리고 보컬곡이 아닌 연주곡이라는 점 등으로 프라이빗 뮤직의 음악들도 뉴에이지라고 불리게 된 것으로 생각된다. 이를 계기로 뉴에이지계는 대 혼란을 겪게 되었다. 기존의 어떤 장르에도 속하지 못하는 `갈 곳 없는 음악'들이 모두 뉴에이지로 분류되게 되었다.

마치 잡동사니와 같이 되버렸다. 이런 혼란을 더욱 부추긴 것은 86년 그레미상 수상에서였다. 86년에 처음으로 뉴에이지 수상 부문에 생겼는데 여기서 수많은 순수 뉴에이지 뮤지션들을 제치고 빌더글라스나 쟝미셸자르 같은 전자음악 뮤지션들이 지목되었다. 당시 수상을 한 안드레아스 폴덴바이더(Andreas Vollenweider) 역시 일렉트로닉 하프를 연주하는 전자음악계 뮤지션이었다.

 

 그 이후 재즈,락,프로그래시브계의 수많은 뮤지션들이 뉴에이지로 전향하는 사태가 벌어졌고,뉴에이지계는 종잡을 수 없는 혼란을 겪게 되었다. 같은 음악이 재즈로 분류되는가 하면 뉴에이지로도 분류되는 혼란을 초래하게 된 것이다.혼란을 제2의 발전으로 그러나 이런 혼란스러움이 지닌 하나의 큰 장점이 있었다.

이제 뉴에이지는 어떤 관례적 형식에도 억매이지 않는 `자유롭고 실험적인 장'이 된 것이다. 이런 장점을 살려 탄생한 대표적인 것이 `일렉트로닉 뉴에이지'이다. 일렉트로닉 뉴에이지는 두 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반젤리스나 쿠스코,쟝미셸 쟈르 등은 기존에 프로그래시브계에서 활동하다가 프로그래시브의 쇠퇴로 뉴에이지로 재분류된 케이스들이다.

그러나 진정한 일렉트로닉 뉴에이지는 패트릭 오헌(Patrick O'Hearn)이나 데이빗 아켄스톤(David Arkenstone) 등의 신선하고 새로운 전자음악에서 비롯되었다. 윈드햄 힐 소 속의 쉐도우 팩스(Shadowfax)도 일렉트로닉 뉴에이지의 개척자로 인정받는 그룹이다. 이 외에도 전설적인 프로그래시브 그룹은 탠저린 드림(Tangerine Dream)이 88년부터 뉴에이지로 전향했고,락계의 천재적인 키보드 주자 에디 잡슨(Eddie Jobson)도 85년에 뉴에이지 앨범을 발표했다. 여성 뮤지션 수잔 시아니(Suzanne Ciani)는 클래시컬한 전자음악을 만들어 내어 많은 사랑을 받았다.

 

  최근 들어서는 점점 이런 일렉트로닉 뉴에이지 뮤지션들은 늘어감에 따라 80년대 초반의 순수 어쿠스틱 뮤지션들이 점점 사라지는 추세이다. 더구나 86년 그레미상에 뉴에이지 부문이 생긴 이래 수상자 명단을 보면 순수 어쿠스틱 뮤지션들의 이름은 찾아보기 힘들다. 96년 그레미상 뉴 에이지부문 후보에 오른 탠저린 드림(Tangerine Dream),패트릭 오헌(Patrick O'Hearn),수잔 시아니(Suzanne Ciani) 모두가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전자 음악 뮤지션들이다. 이런 일렉트로닉 뉴에이지는 과거 프로그래시브로 분류됐을 법한 음악들이 프로그레시브의 극도의 침체에 따라 뉴에이지로 분류된 것으로 생각된다.


 

  프로그래시브계 뿐만 아니라 재즈 계열의 뮤지션들도 뉴에이지계에서 활동이 활발하다. 앞에서 빌 에반스의 음악은 뉴에이지 스타일과 매우 비슷하다고 언급했듯이 재즈계열의 차분하고 서정적인 연주곡들은 뉴에이지로 분류되고 있다.

재즈계에서 프로듀서로 활동하던 마이클 콜리나(Michael Colina)나 베이시스트 마이클 맨링(Michaek Manring), 기타리스트 랄프 일렌버거(Ralf Illenberger) 등이 대표적인 재즈 계열의 뉴에이지 뮤지션들이다.


케니지(Kenny G)도 최근에는 많은 사람들이 뉴에이지로 분류하기도 한다. 나라다(Narada)에서는 이런 혼란한 뉴에이지계를 교통정리나 하듯 `Lotus' `equinox' `mystique'의 세개의 서브 레이블을 만들었다. `Narada Lotus'는 순수 어쿠스틱 음악으로 데이빗 란쯔(David Lanz)나 마이클 존즈(Michael Jones) 등이 대표적인 뮤지션이다.

`Narada Equinox'는 휴전계의 뉴에이지로 재즈 계열의 뮤지션들의 활동이 활발하다. `Narada Mystique'는 일렉트로닉 뉴에이지로 데이빗 아켄스톤(David Arkenston)이 대표적이다


공유
1
오작교 글쓴이 2024.10.31. 21:41
이 공간이 생긴 지가 상당히 오래되었다고 생각을 했는데,
전제 게시판에 댓글이 10개가 넘지를 않았군요.
최근 댓글란에 공간이 보기 싫어서 제가 스스로 댓글을 씁니다.
댓글 등록
취소 댓글 등록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삭제하시겠습니까?

목록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45
normal
오작교 1일 전09:42 10
44
file
오작교 24.12.07.10:51 888
43
file
오작교 24.12.07.09:56 905
42
normal
오작교 24.12.07.09:55 884
normal
오작교 24.08.30.14:01 1340
40
file
오작교 24.04.06.11:05 1785
39
file
오작교 22.10.12.09:38 2323
38
file
오작교 21.12.11.08:37 2460
37
file
오작교 21.12.11.08:31 2102
36
file
오작교 21.12.11.08:22 2455
35
normal
오작교 21.04.06.08:51 2385
34
normal
오작교 21.04.06.08:49 2333
33
normal
오작교 21.04.06.08:47 2305
32
normal
오작교 18.12.05.19:10 2802
31
normal
오작교 18.12.05.19:07 2804
30
file
오작교 18.12.05.19:06 3039
29
normal
오작교 18.12.05.18:59 3064
28
normal
오작교 18.01.29.11:19 5090
27
normal
오작교 16.09.19.11:28 4816
26
normal
오작교 16.06.14.11:45 3152

스킨 기본정보

lemon board
2021-12-01
lemon 게시판 스킨

확장 변수

1. 게시판 기본 설정

입력하지 않으면 메뉴 이름으로 출력됩니다.

별도의 사용자 정의 설정 필요 (가이드 참고)

별도의 사용자 정의 설정 필요 (가이드 참고)

경험치 모듈을 사용하는 분만 체크 해주세요.

2. 게시판 디자인

숫자만 입력 (기본 리스트: 기본 15px, 테이블 리스트: 기본 15px, 웹진 리스트: 기본 25px)

숫자만 입력 (기본 14px)

숫자만 입력 (기본 13px)

숫자만 입력 (기본 14px)

숫자만 입력, *em단위로 입력 예: 1.1, 1.15 등 (기본 1.05em)

숫자만 입력 (기본 14px)

숫자만 입력, *em단위로 입력 예: 1.1, 1.15 등 (기본 1.0em)

타임라인 모듈이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3. 글 목록

일주일 기준으로 출력됩니다. lemon widget이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폰트어썸 아이콘 class명을 넣어주세요. (예: far fa-circle)

기본 리스트, 테이블 리스트, 갤러리 게시판만 사용 가능

기본 리스트만 해당

FAQ, 테이블 리스트를 제외한 게시판만 가능

기본 리스트, 테이블 리스트만 해당

기본 리스트, 테이블 리스트만 해당

기본 리스트, 테이블 리스트만 해당

폰트어썸 아이콘 class명을 넣어주세요. (예: far fa-thumbs-up)

폰트어썸 아이콘 class명을 넣어주세요. (예: far fa-thumbs-down)

공지사항 더보기/접힘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접힘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기본 리스트, 웹진 게시판만 해당

기본 리스트, 웹진 게시판만 해당

4. 갤러리 설정

원본 이미지가 충분히 클 경우에만 사용해주세요.

기본 갤러리 게시판만 해당

기본 갤러리 게시판만 해당

갤러리 게시판만 해당

5. 글 읽기 화면

관리자는 신고 수가 기본으로 출력됩니다.

복수 입력시 쉼표로 구분합니다. (예: 123,456)

복수 입력시 쉼표로 구분합니다. (예: 123,456)

6. 댓글 설정

폰트어썸 아이콘 class명을 넣어주세요. (예: far fa-thumbs-up)

폰트어썸 아이콘 class명을 넣어주세요. (예: far fa-thumbs-up)

베스트 댓글 애드온을 사용할 경우 반드시 '기존 댓글 페이징'을 선택해주세요.

1이라고 입력하면 1시간 후에 열람 가능

7. 글쓰기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8. 사용자 코드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만 지원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만 지원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만 지원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만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