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oading...
  • Loading...

INTRODUCTION

Jaap van Zweden(condoctor)
Netherlands Philharmonic Orchestra,
Recording : June - August 2002,
Beurs van Berlage, Amsterdam

Total time : 72:09

  1. Symphony No.3 in F major,Op.90

    작품의 배경 및 개요

    브람스가 작곡한 총 4편의 교향곡 중에서 2번과 3번은 평소에 우리가 알던 브람스의 이미지와 조금은 다른 느낌을 준다.
    계절에 비유하자면, 1번 교향곡은 겨울, 2번은 봄, 3번은 여름, 4번은 가을이라 말하고 싶다. 삶의 환희가 느껴지고 따스함과 넉넉함이 느껴지는 D장조의 교향곡(2번)과 여름에 내리쬐는 햇볕처럼 강렬하면서 막힘이 없는 3번 교향곡은 그의 음악세계가 우울 일변도가 아닌, 얼마나 다채롭고 매력적인 색깔들로 가득 차 있는지 보여준다.

    그 중에서도 3번 교향곡은 내면에서 터져 나오는 듯한 격정과 뜨거움이 일품인데, 어느 한 부분도 머뭇거리거나 주저함 없이 쏟아지는 선율과 전개의 논리성, 남성미가 물씬 풍기는 강인한 소리, 그리고 그 끝에 조금씩 느낄 수 있는 작곡가 특유의 씁쓸함까지 생각한다면 이 곡이 가진 카멜레온 같은 매력을 거부할 사람은 아무도 없으리라.

    막힘없는 악상 전개를 보아도 짐작할 수 있듯이 브람스는 이 곡을 비교적 짧은 시간동안 써냈다. 그가 교향곡 3번의 작곡에 착수한 것은 1883년 5월쯤으로 보이며 여름휴가 기간 동안 중부 독일의 휴양도시 비스바덴(Wiesbaden)에 머무르며 상당 부분을 완성시켰다. 어느 정도 초고가 정리된 것이 그 해 10월이니까 거의 반 년 만에 완성시킨 셈이다. 물론 길이가 짧은 편에 속하고 그 이후로도 몇 군데 수정을 거듭하며 실질적인 작곡기간은 조금 더 길어졌지만, 첫 번째 교향곡을 완성하기까지 21년이 걸린 것을 감안하면 6개월이 조금 넘는 시간은 정말이지 새발의 피 수준인 셈이다.

    하지만 앞서 말했듯 이 작품에는 상당히 다양한 텍스처의 악기조합과 조성의 변화, 자연스러운 주제 동기의 전개가 곳곳에 숨어있다. 특히 6/4박자라는, 쉽게 쓰이지 않는 박자로 구성된 1악장이 매우 인상적인데, F-A♭-F로 이어지는 관악기의 화음에 풍성한 현악기의 선율이 뒤를 따르며 듣는 사람의 마음을 설레게 한다.

    3번 교향곡이 차별화되는 지점이라면 바로 이 부분부터가 아닐까. 주선율과 반주로 구분은 되지만 이전 세대에 비해 여러 개의 선율이나 모티브가 대위법적으로 얽히는 구조를 좋아했던 브람스의 이전 작품들-특히 교향곡 1번의 1악장-과는 다르게, 이 작품은 선율과 반주의 역할이 비교적 확실하게 분리되어 있고 한 번 들었을 때 멜로디라인을 잡아내기가 훨씬 수월하다.

    특히 멜랑콜리한 정서의 극치를 보여주는 3악장은 첼로의 고음역에서 제1바이올린으로 선율이 이행되는 과정의 관현악법이 매우 뛰어나 주목할 만하다. 4악장 역시 브람스의 작품들 중에서 손에 꼽힐 정도로 격렬하고 생동감이 넘치며 패기가 느껴지는 피날레다.

    악장의 첫머리부터 시작된 F단조의 선율은 저음역대에서 꿈틀거리다가 어느 순간부터 갑자기 용솟음치며 급박하게 터져 나오기 시작한다. 한 가지만 첨언하자면, 4악장의 격렬함이 잦아드는 곡의 종지 부분이 매우 인상적이다. 후속작품으로 탄생한 교향곡 4번의 회한어린 1악장과 묘하게 오버랩되는 느낌을 주기 때문이다. 모든 것을 집어삼킬 것 같던 기세로 달려들던 음표들도 결국 시간의 흐름 앞에서는 어쩔 수 없음을 보여주는 느낌이라고 해야 할까.

    작품의 구성 및 특징

    • 제1악장 Allegro con brio 바 장조. 6/4 박자. 소나타 형식.
      처음에 관악기들의 힘찬 화음에 뒤이어 여러 감정들이 얽힌 듯한 분위기로 제1주제가 연주된다. 브람스 특유의 노래하는 듯한 경과부를 지나면 클라리넷으로 연주하는 부드럽고 아리따운 제2주제가 등장해 마치 자장가처럼 우아한 선율을 노래한다. 발전부와 재현부를 지나 코다로 들어간다. ‘con brio’(생기 있게)가 지시하듯 화려하고 활기에 넘치지만 단조의 색조가 짙어 적적하고 왠지 쓸쓸함도 감도는 악장이다.

    • 제2악장 Andante 다 장조 . 4/4 박자. 세도막형식.
      1악장과는 달리 평안한 분위기에 간소한 면을 볼 수 있는데, 감정의 표현을 솔직하게 나타냈다. 느리고 서정적이고 조용한 악장으로 밑바닥에는 절제된 정열이 도사리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주요 주제는 아이들을 위한 노래 같은 멜로디다. 1악장에서 볼 수 있던 영웅적인 기세가 수그러들고 모든 정열적인 것에서 해방돼 평화로운 세계에서 한가로이 쉬고 있는 듯한 느낌이다.

    • 제3악장 Poco allegretto 바 단조 . 3/8 박자. 세도막형식.
      베토벤 이래 교향곡 3악장에는 스케르초를 쓰는 것이 상례였으나, 브람스는 여기서 C단조 편성의 전통적인 악장으로 구성했다. 악기 편성은 2악장보다도 축소되고 금관이나 타악기는 쓰이지 않는다. 애수가 담긴 아름다운 멜로디가 수묵화 같은 느낌으로 진행된다.

    • 제4악장 Allegro - Un poco sostenuto 바 단조 / 바 장조. 2/2 박자. 소나타 형식.
      1~3악장과는 대조적인 분위기이다. 정열적이고 영웅적인 투지를 느낄 수 있는 악장이다. 변형과 생략이 많은 소나타 형식으로 되어 있으며, F단조로 진행하다 코다에서 F장조로 조바꿈되어 2악장의 제2주제와 관련된 코랄에 도달한다. 마지막에는 1악장의 제1주제가 나타나며, 격렬하고 힘찬 추진력을 보여준다.

      2악장에서 지난날의 회상을 나타내고 3악장에서 동경 내지 향수를 보여준 브람스는 마지막 악장에서 힘찬 몸부림을 보여주고 있다. 어둠 속에서 신음하다가 극복하고 해방을 보여주는, ‘암흑에서 광명으로’의 베토벤적인 모토가 긍정적으로, 기쁨에 넘치며, 최후에는 사라지듯이 끝을 맺는다.
      글 출처 : Goclassic

  2. Symphony No.4 in e minor, Op.98

    1884년 51세 때 브람스는 작곡가로서 상당한 지위와 명예를 확보하였지만 개인적으로는 독신으로 가정도 없고 이즈음에는 친구들의 사별도 잦아지는 인생의 가을을 접하고 있을 때였다.

    이해 여름 그는 빈 남서쪽의 뮈르츠실라흐(Murzzuschlag)란 곳에서 교향곡으로는 마지막이 될 4번의 작곡에 착수하게 된다.

    뮈르츠실라흐는 브람스가 2년 계속해서 올 정도의 그의 마음에 들었던 곳으로 클라라(Clara Schumann)에게 보낸 편지에서도 “놀랄 만큼 아름다운 곳으로 마법과 같은 달밤의 하루를 당신과 보내고 싶어진다”고 할 정도였다.

    그리하여 2개 악장은 연내에 쓰고 나머지 2개 악장은 다음 해 1885년 여름에 완성하게 된다. 20년이 넘는 1번에 비하면 다소 짧은 기간에 대작을 완성한 셈인데, 말하자면 마음에 드는 좋은 곳에서 전심전력을 다해 정성과 공을 들인 작품인 것이다.

    곡의 초연은 완성 다음 해인 1886년 10월 브람스 자신의 지휘로 마이닝겐(Meiningen) 궁정 관현악단에 의해 이루어졌다. 연주는 대성공이었고 특히 3악장의 반응이 굉장하여 다시 연주될 정도였다. 그 후 뷜로와 브람스가 지휘하는 마이닝겐 관현악단을 비롯하여 열두 군데가 넘는 여러 도시에서 반복 연주되었다.

    또한 빈에서는 리히터가 지휘하는 빈 필하모닉의 연주로, 그리고 라이프치히에서는 브람스가 지휘하는 게반트하우스 오케스트라에 의해 연주, 큰 성공을 거두었다. 빈은 그의 교향곡 2번과 3번에는 열광하였지만 1번 교향곡에 대해선 지독히도 냉담한 반응을 보인 도시였고, 이와는 반대로 지적으로 진지한 도시인 라이프치히는 1번이나 2번이나 3번보다 더 좋은 평을 받았던 곳이기도 했다. 결국 4번 교향곡을 통해 두 도시의 반응이 마침내 올바른 것으로 형성되었고 이런 사실에 브람스 자신도 매우 흡족해 하였다. 물론 공공연한 브람스의 반대파였던 바그너파를 제외하고 말이다.

    브람스가 임종의 자리에 누워 있을 때 어떤 이가 이렇게 물었다고 한다. “선생님의 작품 중에서 어느 것을 가장 좋아하십니까?” “어느 것이냐고? 그야 제일 나중에 들었던 것이지.” 여기서 제일 나중에 들은 것이란 죽기 1개월 전 빈 필하모닉의 연주를 들은 교향곡 4번이었다. 말하자면 작곡가 스스로도 가장 높게 평가했던 것이자 노경(老境)에 무르익은 내적 세계가 잘 표출된 마지막 걸작의 하나라 하겠다.

    이런 4번 교향곡은 이전의 3개의 교향곡과는 판이하게 다르다. 그것은 형식뿐만 아니라 곡의 성격에서도 상당한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 브람스 자신도 뷜로에게 보낸 편지에서 “나는 이 곡에서 이곳의 기후 같은 냄새가 나서 실은 매우 걱정을 하고 있다”라고 하여 곡의 텁텁함을 인정하고 있는데, 예전 교향곡에서는 볼 수 없는 애수에 젖은 어두운 고독, 우수가 처절히 드러나 있고 곡 전체에는 고립적인 은빛 같은 것이 빛나고 있다. 특히 늦가을의 허전한 적막감을 전해 주며 내성적인 체념의 울부짖음과 같이 인간의 영혼에 강렬히 소소하는 감명을 주고 있다.

    한편 형식에서는 2악장에 교회선법의 일종인 프리기아(phrygian mode) 선법을 쓰고 있고 가장 특이한 것은 끝악장에는 파사칼리아(passacaglia)를 도입 과거로의 회귀 취향을 나타냈다는 것이다. 이런 파사칼리아가 어디서 유래했는지는 정확하지 않지만 평소 가가 존경하던 바흐의 칸타타 150번<주여! 저는 우러러봅니다(Nach dir! Herr, Verlangent mich)>의 마지막 합창의 샤콘느(chaconne) 주제와 유사성을 드러내고 있다.

    물론 예전 사람들이 그러했듯이 따로 악보에다가 ‘파사칼리아’라든가 ‘샤콘느’라고 적고 있지는 않다. 이는 <하이든 주제의 의한 변주곡>의 마지막 곡의 경우와 같다. 또한 브람스와 뷜로와의 대화에서 이 바흐의 주제를 기초로 하여 교향곡을 쓰면 어떻겠느냐고 말한 적도 있어 이런 추측을 뒷받침하고 있다.

    이렇게 무자비할 정도로 진지하고 텁텁한 분위기와 낡고 고풍스런 관현악법 탓에 초연의 성공과는 별개로 처음에는 수수께끼 같은 곡이란 평을

    들으며 단기간에 큰 호응을 얻지는 못했다. 친구인 칼베크도 이 곡의 발표를 미루자고 할 정도였고 말러는 ‘텅텅 빈 음의 사닥다리’라고 비꼬기까지 했다. 하지만 뷜로는 “이 곡은 아주 빼어나다. 독창적이고 신선하며 마치 철과 은 개성을 가지고 있다. 그리 탄할 만한 에너지가 처음부터 끝까지 꿈틀거리고 있다.”라고 곡의 위대성을 미리부터 꿰뚫어 보기도 하였다.

    1악장은 비통한 애수가 가득 찬 인생의 가을을 말해주고 있다.

    2악장은 마치 상냥한 노래처럼 들리는데, 이것은 평생을 사모했던 클라라에 한 심경을 간곡히 토로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래서 마치 베일을 덮은 조용한 아름다움이 비길 데 없다.

    또한 3악장은 쓸쓸함을 벗어나려고 즐거워하면서도 항상 명상하지 않을 수 없었던 브람스 자신의 성격을 대변하고 있다.

    그리고 4악장은 가을이 더욱 깊어진 만추(晩秋)인데 무언지 모를 감회와 잔잔한 슬픔의 그림자가 찬연히 빛나고 있다. 마치 늦가을 황량한 벌판을 걸어가는 작곡가 자신의 멜랑꼴리한 고독이 깊은 여울에 후물거리는 듯하다. 그래서 곡을 듣노라면 고풍스러우며 인간의 연속적인 과거로의 추억적 공감을 자아낸다. 특히 인생의 고독한 체험이 가슴 깊이 와 닿는다. 이런 허전함은 브람스의 것이자 만인의 것으로 큰 위안을 주고 있어 브람스적인 체관은 마음에 스며드는 언어이기도 하다.

글 출처 : 불후의 클래식(허재, 책과음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