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oading...
  • Loading...
INTRODUCTION

Friedrich Gulda, piano
Wiener Philharmoniker
Horst Stein, Condoctor
Recording : 1970, Sofiensaal, Vienna

Total timing 01:13:20

  1. Piano Concerto No.1 in C major Op.15

  2. 작품의 배경 및 개요

    18세기 후반부터 19세기 전반에 걸쳐 피아노 협주곡은, 작곡가가 자신의 존재를 알릴 수 있는 장르이자 경제적으로도 도움이 되었기에 많이 써졌다. 모차르트가 빈에 머물 때의 협주곡들이 그 전형적인 예이며 베토벤도 예외는 아니었다. 당시 여러 작곡가들의 협주곡은 바로크 시대의 양식에서 벗어나 소나타 형식을 확립했으며, 이른바 고전파 협주곡의 틀 안에서 작곡되었다. 특히 1악장은 관현악으로 시작하여 그대로 제시부를 마치고, 이어서 피아노가 가세하여 독주 제시부로 들어갔다. 재현부와 코다 사이에는 피아노 독주에 의한 카덴차가 주어졌다. 카덴차는 즉흥적으로 연주하도록 독주자에게 맡겨져 있었다.

    이런 구성은 베토벤에 이르기까지 유지되었으며, 여러 작곡가들은 이런 틀 안에서 자신의 음악을 펼치기 위해 고심했다. 그런데 베토벤이 이런 전통을 깼다. 우선 독주자에게 맡겼던 카덴차를 작곡자인 베토벤 자신이 직접 써 넣었다. 또한 1악장을 관현악 제시부로 시작하는 전통을 깨고 피아노를 도입하기도 했다. 그러나 그도 초기의 협주곡에서부터 갑자기 혁신적인 서법을 보였던 것은 아니다. 1번과 2번 협주곡에 베토벤이 쓴 카덴차가 남아 있기는 하지만 독주자에게 그것을 반드시 연주하도록 했던 것은 아니다.

    베토벤의 피아노 협주곡은 후세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그것은 단순히 카덴차의 즉흥 연주를 폐지하고 피아노를 제시부에 도입한 것에 그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피아노 협주곡 4번 이후에 두드러진 관현악의 충실한 사용은 브람스를 비롯한 많은 작곡가들에 의해 ‘교향적 협주곡’을 낳게 했다. 또한 피아노 협주곡 5번 ‘황제’에서 보이는 거장적인 피아노 연주 양식은 낭만파 시대에 이르러 한층 더 진척된다.

    ‘대협주곡’이라고 이름 붙이다

    피아노 협주곡 1번은 작품번호로는 2번보다 앞서지만 실제로는 2번 이후에 작곡되었다. 좀 더 손보느라 2번의 악보 출판(1801년 12월)이 늦어지는 바람에 1번이 먼저 세상에 소개된 것이다(1801년 3월). 베토벤은 이 피아노 협주곡 1번에 자신만만하게 ‘대협주곡’이라고 이름을 붙였는데, 그렇다고 이 명칭이 단순히 겉치레로 붙여진 것은 아닌 듯하다. 관현악 편성이 당시의 일반적인 협주곡보다 대규모여서 교향곡 규모라고까지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베토벤은 이런 대편성의 관현악에 맞설 수 있는 피아노 사용법에서 이미 확고한 자신감을 가지고 있었다. Op.7과 Op.10의 세 곡의 피아노 소나타에서 기존 피아노에는 없었던 새로운 피아노 서법을 개척하였고, 이 무렵 피아노의 대가로 인정받고 있었던 터였다.

    이 곡은 베토벤이 빈에 체류하면서 얼마 지나지 않은 1794년경에 스케치되었던 것으로 보이며 1795년에 완성되었다. 초연 날짜는 확실하지 않으나 1798년 세 번째 프라하 여행 때 콘빅트잘에서 열린 연주회에서 작곡가 자신이 직접 연주했던 것이 초연으로 보인다. 이 곡은 바르바라 오데스칼키 후작부인에게 헌정되었다. 그녀는 베토벤에게 피아노를 배웠으며 누구에게도 뒤지지 않는 연주 실력을 뽐냈다. 체르니에 의하면 베토벤은 그녀를 사랑했다고 한다.

    피아노 협주곡 1번은 형식적으로는 모차르트 양식의 고전 협주곡의 전통을 따르고 있으며, 모차르트 이외의 선배 작곡가들에게 받은 영향도 보이기는 하지만 베토벤 특유의 자신감을 엿볼 수 있는 작품이다. 베토벤은 이 곡의 1악장을 위해 3종류의 카덴차를 남겼다. 그러나 이 카덴차는 초연 후에 한동안 연주되지 않았다. 카덴차의 최고음을 당시의 피아노가 낼 수 없었기 때문이다. 베토벤은 이 음들을 연주할 수 있도록 새롭게 개량된 피아노를 1804년에 처음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1809년에 따로 쓴 것으로 보이는 이 카덴차는 친구이자 제자이며 후원자이기도 한 루돌프 대공의 피아노 연주를 돕기 위해 준비한 것이라는 설이 있다.

    작품의 구성

    • 제1악장 Allegro con brio.
      협주곡 풍 소나타 양식이다. 베토벤의 피아노 협주곡 1번에서 3번까지의 1악장 빠르기말은 모두 알레그로 콘 브리오이다. 화려한 연출 효과를 내기 위해 의도된 것이다. 제2바이올린, 비올라, 더블베이스가 가벼운 기분으로 신선한 주제를 조용히 내면 곧 오케스트라가 이를 힘차게 반복한다. 이것이 일단락되면 다시 바이올린이 중심이 되어 좀 더 우아한 제2주제를 연주하고, 다시 오케스트라의 투티가 온다. 여기서 모차르트의 세련미를 엿보게 되고 선배들의 영향을 읽게 된다.

      오케스트라의 서주 이후로는 독주 피아노가 홀로 카덴차 풍의 선율을 화려하게 펼쳐나간다. 피아노의 활약이 일단락되면 다시 오케스트라의 무대가 와서 화려한 잔치를 벌이게 되고, 끝으로 피아노의 카덴차와 오케스트라의 강렬한 화음으로 끝난다.

    • 제2악장 Largo
      3부 형식. C장조의 1악장과 3악장 사이의 이 악장이 A플랫장조인 것은 당시로서는 드문 경우이다. 시적인 아름다움을 주는 악장이며, 외면적인 효과를 의도한 1악장과는 매우 대조적이다. 피아노가 우아하고 평온한 기분으로 아름다운 주제를 내면 저음 현악이 뒷받침한다. 이것을 오케스트라가가 받아서 반복하면 피아노와 오케스트라의 환상적인 협주가 조용한 분위기 속에서 곱게 펼쳐진다.

    • 제3악장 Rondo, allegro scherzando
      스케르찬도이지만 대단히 큰 스케일과 격렬함을 느끼게 하는 악장이다. 독주 피아노가 처음부터 격앙된 표정으로 짤막한 주제를 내면 오케스트라가가 투티로 반복하고 다시 피아노가 강렬한 모습으로 등장한다. 계속해서 펼쳐지는 피아노와 오케스트라의 경쾌한 대화는 베토벤다운 힘을 갖고 진행되고 이윽고 오케스트라의 인상적인 코다로 곡을 마친다.

  3. Piano Concerto No.3 in c minor Op.37

  4. 작품의 배경 및 개요

    1800년에 작곡하여 1803년 안 데아 빈 극장에서 베토벤 자신이 처음 연주하였다.
    이 곡은 하이든이나 모차르트 같은 선배 작곡가들의 영향을 받은 피아노 협주곡 1, 2번과는 달리 원숙기에 접어드는 시기의 작품으로 피아노는 피아노의 독자적인 기교가 발휘되며, 오케스트라는 각 악기의 특성이 발휘되는 교향곡과 같은 모습을 보여준다. 그리고 이들 양자의 융합을 통해 협주곡이라는 곡 형식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이 곡은 프로이센의 루이 페르디난트 왕자에게 헌정되었는데, 그역시 뛰어난 피아니스트이자 작곡가로서 베토벤 교향곡 제3번 영웅을 듣고 크게 감동을 받았다고 전해진다.이런 인연으로 이 곡이 그에게 헌정되었다.
    베토벤의 피아노 협주곡 제 3번 c단조는 피아노 협주곡에서 처음으로 베토벤의 개성이 나타난 작품이며 모차르트의 c단조 협주곡에서 영향을 받았다고 한다. 전체적으로 어두운 분위기이나 낭만적인 선율과 정열적인 곡상이 잘 어울린 명작이다.

    작품의 구성

    이 작품은 제2 및 제1협주곡에서 보는 것 같은 선배의 영향은 일소되었으며, 지금까지 실내악적으로 흐르기 쉽던 피아노는 일단 거장적(巨匠的)인 기교를 발휘하고, 반주적으로 되기 쉽던 관현악은 뚜렷하게 각 악기의 특성을 발휘하여 양자의 혼연한 융합을 꾀한 것을 특징으로 꼽을 수 있다. 이 때까지의 3개의 협주곡 중에서는 가장 뛰어난 협주곡이다.

    • 제1악장 Allegro con brio.
      그 화려함은 고대의 로마를 방불케 하며(렌츠), 협주곡 제5번에 있어서의 남성적인 웅혼(雄渾)함과는 반대로 여성적인 우미함과 달콤한 애수미가 담겨 있어서, 선율미에 있어서는 확실히 5개의 협주곡 중 으뜸이라 하겠다.

    • 제2악장 Largo
      다장조 협주곡의 제2악장이 장3도 아래의 조를 택했음에 반하여, 여기서는 장3도 위로 잡았으며 효과도 예기치 않은 명랑성을 지니고 있다.

    • 제3악장 Rondo, allegro
      초기의 론도 형식에 따랐으며, 3개의 주제가 사용되어 경쾌한 론도 주제에 쾌적한 제2주제(내림 마장조)가 계속된다. 클라리넷에 의한 제3주제를 지나 론도 주제와 제2주제가 재현되는데, 각 주제는 피아노와 관현악으로 교대되며 반복 연주된다.

글 출처 : 불후의 클래식(허재, 책과 음악) 中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