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oading...
  • Loading...
INTRODUCTION

Kurt Masur(Conductor)
Gewandhaus Orchester Leipzig

Total timing 01:11:26

  1. Symphony No.6 in c mimor Op.68(Pastorale)

    작품의 배경 및 개요

    교향곡 제 6번<전원>2악장 청각장애가 극심한 39세 때의 작품.
    인간과의 대화가 어려울 수록 자연에 대한 사랑은 더욱 친밀해지는 것, 5개의 각 악장마다 표제를 붙이고 있으나, 풍경묘사를 넘어서 대자연의 숭고함을 공감하게 한다. 제2악장 “시냇가의 정경” 흐르는 시냇물의 속삭임을 연상케 하는 반주 위에 바이올린이 테마를 제시한다. 새들의 지저귐이 전원의 정경을 한껏 묘사하고 있는데 제 2테마는 햇살 가득한 들의 정취를 그린다. 재현부에서는 밤꾀꼬리 소리(플루트), 메추리소리(오보에), 뻐꾸기소리(클라리넷)가 묘사되고 있다.

    베토벤의 걸작 중의 하나인 이 전원 교향곡은 그가 38세 때인 1808년에 작곡하여 그 해 12월 22일에 빈의 데어 안 빈 극장에서 초연되었다. 그는 빈 근교에 있는 하일리겐슈타트에서 귓병으로 1802년 여름에 정양한 일이 있었는데 병에 자신을 잃어 절망한 나머지 비통한 유서를 쓴 일이 있다.

    1808년 여름 그는 다시 이곳에서 정양했는데 그 때 자연에서 받은 감명을 작품에 담은 것이 이 전원교향곡이다. 그는 이 작품을 특징 있는 교향곡, 전원생활의 회상이라 이름하였다. 그리고 이것을 듣는 사람의 각자의 입장에서 생각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씌어 있다.

    다시 말해서 이 해석은 듣는 사람의 자유에 맡기게 했고 별로 제한을 두지 않았다.
    그러기에 이 작품은 일종의 회화라기 보다는 오히려 감정의 표현이라는 단정을 내리게 되었다. 그는 자연을 그리려 했으며 그가 귓병으로 고생했을 때는 자연을 사람보다 더 사랑한다고 까지 했다는 것이다. 이 곡은 운명교향곡과 같이 로프코비츠 공작과 라주모프스키 백작에게 헌정되었다.

    작품의 구성

    • 제1악장 Allegro ma non troppo F major 2/4박자
      - 시골에 닿았을 때의 유쾌한 감정의 눈뜨임(Awakening of cheerful Feelings upon Arrival in the Country)
      소나타 형식을 채택했으며, '시골에 갔을 때 받은 유쾌한 감정'이라는 표제를 가지고 있다. 서주없이 곧바로 제1주제가 시작된다. 이것은 명랑한 전원을 생각함과 같은 기분이다. 따라서 전원이 밝은 풍경, 다시 말해서 조용하고 평화에 찬 분위기를 여기에 그렸다. 온갖 초목들을 푸르러 무성한데 새들은 지저귀고 미풍은 스쳐, 자연은 정숙하기만 하다.

      제1주제는 전체 8마디의 악절 중 앞의 4마디가 생략되어 버린 독특한 유형으로 청자로 하여금 이미 곡의 중간에 들어와 있는 느낌을 주는 시작이다. 제 1바이얼린으로 나타나는 제 2주제는 시원스런 분산화음적 하행을 바탕으로 하되, 전체적으로는 음계적 상행을 보여준다. 발전부는 제 1주제의 세 가지 모티브를 활용하여 이루어지고, 제 2바이얼린과 비올라가 제 1주제를 재현함으로써 재현부가 시작된다. 제 1바이얼린의 카덴차에 이어 코다로 악장을 마친다.

    • 제2악장 Andante molto mosso Bb major 12/8박자
      - 시냇가의 정경(情景) (Scene by the Brrok)
      소나타형식. 시냇가에 자연을 묘사한 가장 놀란만한 표현이라고 평가되고 있다. 반주는 흐르는 물을 연상케 하며 여름날 들에서 들리는 자연의 소리들을 연상케하는 제1테마가 제1바이올린에 의해 제시되는데 자연의 소리를 방불케 한다. 제2테마는 아름다운 들의 정취를 묘사했으며 코다에서는 나이팅게일(Nightingale 밤 꾀꼬리)소리, 메추리 소리, 뻐꾸기 소리들의 정경을 묘사했다.

      소나타 형식의 악장으로 <시냇가의 정경>이란 표제가 붙어 있다. 제2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등의 흘러내리는 시냇물의 속삭임을 느끼게 하는 3련음의 반주가 악장 전체에 흐르고 있다. 여름 들에서 울리는 자연의 소리를 연상시키는 제1주제가 제1바이올린에 의해 나오는데 이것은 단편적인 것에 그 치고 전체의 정서는 화창한 리듬을 타고 흐르는 하모니로 무르익게 하고 있다. 제2주제는 같은 제1바이올린에 유도되어 아름다운 경치를 그려준다. 얼마 안되어 춤추는 듯한 멜로디가 낮은 음부 에 나타나 시냇물이 한없이 평화에 넘쳐 흐르는 듯한 느낌을 준다.

      끝부분에서는 플루트가 꾀꼬리의 소리를, 오보에가 메추리의 소리를 그리고 클라리넷이 뻐꾸기의 소리를 묘사하고 있어 더욱 자연의 아름다움을 느끼게 한다.

      이 부분에 대해서 로망 롤랑은
      "새소리의 자연적인 모방이 아니고 이것은 이를테면 자연이 들려주는 가지가지의 노래와 속삭임으로 엮어진 것이고 보면 새소리도 역시 작곡자에게는 이미 소멸된 하나의 세계를 자기의 정신속에 재창조한 일부분이 아니겠느냐."고 주장하고 있다.

    • 제3악장 Allegro F major 3/4박자
      - 농부들의 즐거운 모임(Merry Gathering of Country Folk)
      3부형식의 스케르쪼 악장이다. 이 악장에 붙은 표제는 <농부들의 즐거운 모임>이다. 자연의 아름다움에 도취했던 베토벤의 눈은 농촌의 생활 풍경으로 옮겨지고 있다.

      3부로 된 현악기에 나타나는 주제는 지금까지 자연만을 그리고 있던 곡을 바꾸어 시골 사람들의 풍경과 시골 잔치 에서 춤추는 농민들의 모습을 그려 주고 있다. 이것은 소박한 3박자의 무곡이다. 시골 사람들의 즐거움 감정은 차츰 고조된다. 바순의 반주 위에 오보에가 독일 민요에 의한 유쾌한 가락을 독주한다.

      트리오는 2/4박자로 변해서 거칠고 기운찬 무도곡을 새로 연주한다. 그리고 다시 처음의 3박자인 스케르쪼로 돌아가 흥분된 기분 속에서 절정을 이룬다.

    • 제4악장 Allegro f minor 4/4박자
      - 천둥 · 폭풍우(Thunderstom)
      폭풍우와 우레 소리라는 표제인데 팀파니, 피콜로, 트럼본등으로 된 폭풍의 묘사가 효과적이다. 트레몰로가 폭풍의 경고와도 같이 불안하게 주요 동기로 나타난다. 광야에 몰아치는 푹풍우의 정취를 그대로 나타냈다.

      일정한 형식이 없는 일종의 간주곡이다. 표제는 <천둥 · 폭풍우>이다. 낮은 현악기가 트레몰로로 바람을 일으키고, 팀파니의 연타로 천둥이 울린다. 지금까지의 즐거웠던 춤도 자취를 감추고 현의 단편적인 가락이 쓸쓸하게 나타난 다음, 전합주는 치열한 음향속으 로 뛰어든다. 관악기의 울부짖음과 현악기의 트레몰로로 폭풍우가 휘몰아치고 피콜로가 번개와 같이 위협적인 소리를 낸다. 이윽고 바람도 자고 비도 멎으면 흩어지는 구름 사이로 한 가닥 햇살 같은 오보에의 멜로디가 나타난다. 마침내 폭풍우가 사라졌을 때 청아한 플루트의 가벼운 상승 멜로디로 곡은 다음 악장으로 넘어간다.

    • 제5악장 Allegretto F major 6/8박자
      - 목장 사람들의 노래 - 폭풍우 뒤의 기쁘고 감사에 가득찬 감정(Shepherd's song - Happy and Thankful Feelings after the Storm)
      멀리서 양치는 목동들의 피리 소리가 들려 오는데 폭풍우가 지난 뒤에 볼 수 있는 전원 풍경이다. 나중에는 자연과 사람과의 조화된 감정을 생각게 하는 장엄하면서도 숭고한 마지막 악장이다. 목가적인 도입부를 가진 론도 형식의 악장이다. 이 악장에 붙은 표제는 <목동의 노래 - 폭풍우 뒤의 기쁨과 감사 의 기분>이다. 목동의 피리를 연상케 하는 클라리넷의 명쾌한 멜로디가 멀리서 들려온다. 이 도입부는 얼마 안되어 호른에 옮겨진다.

      이어서 바이올린으로 제시되는 평화로운 론도의 주제가 제2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호른 등에 의하여 되풀이된다. 현에 의한 제2주제, 클라리넷에 의한 제3주제가 매번 론도 주제를 끼고 나타나서 정규적인 론도 형식으로 힘차고 순수한 기쁨의 노래를 부른다.

      그 리하여 곡은 대자연과 인간 사이에 엮어진 조화를 상징하듯 웅대한 코다로서 끝난다. 행복과 감사의 찬미로 절정에 달했던 코다는 차차 열기를 식히며 가라앉아 격조 높게 곡을 마무리한다. 이렇게 해서 자연에 대한 베토벤의 장대한 묘사는 끝을 맺는다.


  2. Symphony No.8 in F Major Op.93

    이 곡을 구상한 것은 1811년이지만 본격적으로 작곡을 시작한 것은 <교향곡 7번>을 완성한 이후인 7월부터로, 테플리츠에 머무르면서 활기차게 작업을 진척시켰다.

    당시 베토벤은 두 번째로 테플리츠에 체류하는 것이었기에 한층 그 곳에 친숙해있었다. 이렇게 씌여진 이 교향곡은 밝고 명랑하며 베토벤의 작품으로서는 드물게 장중하지 않으므로 낭만적인 경향을 띄고 있기도 하다. 곡을 완성한 것은 1812년 10월. 동생의 결혼으로 린츠에 갔을 때의 일이다. 당시 여러 가지 불쾌한 일도 있었다고 하는데, 다행히 곡은 거의 마무리되어 있었다.

    이 곡은 밝고 명랑하다는 점에서 <교향곡 7번>과 비슷하지만 그 곡과 같은 힘이 열기, 심각함은 없다. 그 때문에 이 <교향곡 8번>은 지금까지의 교향곡보다 창작력이 후퇴한 것처럼 보이기도 하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

    베토벤은 이 작품에서 지금까지 없었던 것을 추구하여, 교향곡의 새로운 방식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이것을 위해 단도 직입적으로 간결하게 쓰는 방법을 선택했다. <교향곡 3번> 다음으로 <교향곡 4번>을 작곡한 상황과 아주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 곡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2악장의 주제로, 리듬을 새긴 듯한 이 주제는 메트로놈(주: 음악의 빠르기를 재는 기구) 소리에서 힌트를 얻은 것이라고 한다.
    이 메트로놈은 요한 네포우크 멜첼(1772~1838)이 고안한 것이라고 한다. 멜첼과 그의 동생 레오나르트 멜첼(1783~1855)은 1812년 초쯤에 베토벤과 친하게 지내기 시작했을 것이다. 형 요한은 <웰링턴의 승리>를 베토벤에게 위촉하여 큰 돈을 벌었던 인물이다(베토벤을 위해 보청기를 만든 것은 동생 멜첼이었다). 그가 베토벤과 친하게 지내게 된 것은 크로노미터라는 장치를 만들면서부터이다.

    1813년 10월13일 비엔나의 한 신문에 이 크로노미터에 대해 다음과 같은 기사가 실렸다.
    "멜첼 씨는 기계와 음악에 대해 풍부한 지식을 지닌 것으로 유명하다.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여행에서 유명한 작곡가나 음악학교에서 많은 사람들이 노력을 기울였지만 결함이 있는 것으로 판명된 기계를 개선하여 많은 사람이 쓸 수 있도록 자신의 재능을 발휘하는 데 심혈을 기울였다. 멜첼 씨는 문제를 해결하기 시작했으며, 최근 전시되었던 견본으로 비엔나의 작곡가들을 만족시켰다. 이것은 곧 국내의 여러 작곡가들의 주의를 끌게 될 것이다.

    이 견본은 작곡가 살리에리, 베토벤, 비글, 기로베츠, 후멜이 다양한 테스트를 했다. 궁정 악장 살리에리는 우선 하이든의 <천지창조>에서 이 크로노미터를 사용해보았다. 그리고 악보의 다양한 단계에 따라 다양한 템포를 맞출 수 있었다. 베토벤은 자신이 생각하고 있는 템포가 자주 잘못 이해되는 것에 대해 유감을 갖고 있었기 때문에 이 발명품으로 인해 자신이 생각하는 템포로 화려한 악곡 연주를 할 수 있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했다."
    이때의 크로노미터는 아직 메트로놈이라고 불리지 않았으며, 기계적인 메트로놈과는 달랐다. 메트로놈의 실제 발명가는 네덜란드의 기사 빙켈이라고 한다. 멜첼은 1815년 암스테르담에서 빙켈의 제품을 알게 되었고 그 아이디어를 그대로 빌려 파리에서 그것을 모델로 한 장치를 만들어냈다. 그리고 1816년 파리에서 메트로놈이라는 이름으로 이 제품의 특허를 취득하였다. 멜첼이 비엔나에 돌아온 것은 이듬해인 1817년이다.

    노테봄의 <제1베토베니아나>에 의하면, 멜첼은 1815년이라는 연대를 메트로놈에 새겨놓았다고 한다. 하지만 메트로놈에 대한 소식이 비엔나에 전해진 것은 1816년 가을로 추정된다. 멜첼은 파리에 메트로놈 공장을 세워 대량생산을 하게 되고, 1817년 초에 영국, 프랑스, 미국에서 널리 인기를 끌게 된다. 그러나 멜첼이 목표로 삼았던 독일과 오스트리아에서는 그리 큰 판매 실적을 올리지 못했다.

    그런데 쉰들러는 그의 저서 "베토벤"에서 크로노미터와 메트로놈을 혼동하는 실수를 저질러 다음과 같이 서술하였다.
    "1812년 봄 베토벤, 기계 제조업자 멜첼, 브룬스비크 백작, 쉬테판 폰 브로이닝 등의 여러 사람이 송별 식사를 위해 모였다. 베토벤은 린츠에 있는 동생 요한을 방문하게 되었고, 거기에서 <교향곡 8번>을 작곡한 후에 보헤미아의 휴양지로 가려 했다. 멜첼은 그 유명한 자동식 메트로놈으로 돈을 벌기 위해 영국으로 갈 예정이었으나, 그 계획을 연기하였다.

    이 기계 사업가가 발명한 박자 측정기 메트로놈은 이미 살리에리, 베토벤, 비글 등 유명한 음악가들이 그 효과를 인정하고 대중들에게 추천을 할 만큼 진보한 것이었다. 베토벤은 기지를 발휘하여, 풍자하듯이 그 기계를 '지휘자가 필요없는 물건'이라고 말하며 카논을 즉흥적으로 작곡, 연주하였다. 그것을 곧 친구들도 노래하였다."
    쉰들러는 이 책에 그 카논 악보를 실었는데, 이 카논에서 <교향곡 8번>의 알레그레토 스케르찬도가 만들어졌다고 서술하고 있다. 이 카논은 킨스키 -- 할름 작품 목록 WoO162에 해당하며 <교향곡 8번>의 2악장을 해설할 때 자주 인용되는 유명한 것이다. 이것은 <타타타 카논>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이 카논에 "타타타 사랑하는 멜첼 씨. 안녕히 가십시오. 시대의 마법사, 위대한 메트로놈..."이라는 가사가 붙어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여기에는 몇 가지 문제점이 있다. 우선 저녁모임이 1812년 봄이었는지 의심스럽다. 왜냐하면 1810년 3월부터 1813년 2월까지 브룬스비크 백작은 비엔나에 없었기 때문이다. 또한 백작이 그 자리에 없었던 것은 그렇다고 해도 당시 멜첼의 메트로놈이 유명해졌다는 것도 이상하다. 그리고 1820년 베토벤의 회화장에 의하면, 쉰들러가 <교향곡 8번> 2악장 동기에 의한 카논의 오리지널 악보를 발견하지 못했으니 그것을 자신을 위해 써달라고 베토벤에게 부탁했다고 한다. 또한 1824년에 {타타타 카논}을 노래했던 즐거운 저녁은 1817년 말이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멜첼은 1817년 말이 되어서야 비엔나에 돌아와 메트로놈을 선전하였다. 식사를 한 것이 1812년 봄이라면 당시 노래한 카논 가사는 현재 남아 있는 것과는 다른 것이며 메트로놈이라는 이름도 아니었을 것이다. 1817년 말에 노래한 카논은 현재의 가사와 같은 카논으로 보이지만 이 연도도 쉰들러가 적은 것이기 때문에 확실치는 않다. 단, 쉰들러가 자신은 소프라노를 노래하고, 멜첼이 베이스를 노래했다고 적고 있으므로 멜첼이 비엔나에 있었던 것은 확실하다. 또한 현재 남아있는 이 카논 악보에는 메트로놈 속도로 8분음표가 72라고 적혀 있다. 노테봄에 의하면, 이것은 쉰들러가 <교향곡 8번> 2악장을 보고 적은 것으로 보이며 베토벤 자신이 기록한 것은 아니다.

    노테봄은 이 카논이 1812년 여름에 즉흥적으로 작곡된 것이며 교향곡 8번 2악장의 스케치 연대와는 모순이 없다고 말한다. 그렇다고 해서 이 카논이 2악장에 이용된 것으로 생각할 수는 없다. 1812년 봄에 저녁모임이 실제로 있었는지 확실치 않으며, 그때 베토벤이 이미 이 악장을 갖고 있었지만 그것을 쓰는 것을 중단했을 수도 있다. 이렇게 해서 카논과 2악장의 관계는 미궁 속으로 빠져들게 된다.

글 출처 : 불후의 클래식(허재, 책과 음악) 中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