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ano Trio in a minor Op.50. 'In Memory of the Great Artist'
작품 개요 및 배경
차이코프스키는 실내악곡을 몇 작품밖에 남기지 않았다. 우리에게 알려져 있는 그의 실내악곡이란 다섯 곡, 즉 ‘피렌체의 추억’이란 타이틀로 유명한 현악 6중주 Op.70, 2악장의 빠르기 지시어 ‘안단테 칸타빌레’(천천히 노래하듯이)가 그대로 곡명으로 통용되는 현악 4중주 1번 Op.11과 2번 Op.22, 3번 Op.30의 세 곡, 그리고 여기 소개하는 피아노 3중주 a단조 Op.50 정도이다.
‘a단조 3중주곡’ 외에 차이코프스키가 피아노 3중주곡을 더 이상 작곡하지 않은 것은 그가 이 형식을 좋아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 형식에 대한 그의 거부감이 어느 정도였는지는 그의 후원자인 폰 메크 부인과의 일화에 잘 나타나 있다. 자기 집에 개인 3중주단을 두고 있었던 폰 메크 부인은 차이코프스키에게 이 3중주단을 위해 피아노 3중주곡을 써달라고 부탁했다. 그러나 차이코프스키는 평소와는 달리 이 요청을 정중히 거절했다.
당시 차이코프스키가 폰 메크 부인에게 보낸 편지의 내용.
“당신은 어째서 내가 3중주를 쓰지 않는지 물었지요. 나는 당신이 기뻐하는 일이라면 무엇이든 하려고 합니다만 이것만은 내 능력 밖의 일입니다. 나는 피아노와 바이올린과 첼로가 서로 결합되는 소리를 참을 수 없습니다. 내 생각으로는 이 악기들의 소리는 서로 어울리는 것 같지 않습니다. 현악기를 위한 3중주나 소나타를 듣는 일이 나에게는 참을 수 없는 고통입니다.”
그랬던 차이코프스키가 피아노 3중주 a단조는 왜 썼을까? 이 작품에는 ‘한 위대한 예술가를 추억하며’라는 부제가 붙어 있다. 여기서 가리키는 위대한 예술가는 당대 최고봉 피아니스트이자 모스크바 음악원 원장인 니콜라이 루빈스타인이다. 과거 차이코프스키는 피아노 협주곡 1번을, 그러니까 자신이 쓴 최초의 피아노 협주곡을 평소 선후배 사이로 허물없이 지내면서 존경했던 루빈스타인에게 헌정하고자 했다.
하지만 루빈스타인은 피아노 대가인 자기와 상의 없이 곡을 만든 데 기분이 상했는지 여기저기 고치지 않으면 초연을 맡지 않겠노라고 퉁명을 주고 만다. 이에 차이코프스키는 발끈해서 한 군데도 고칠 수 없노라고 하고는 그 자리에서 헌정사를 찢어버린다. 훗날 루빈스타인은 차이코프스키에게 사과했고, 피아노 협주곡 1번을 자신의 주요 연주 레퍼토리로 삼음으로써 이 곡의 홍보대사가 된다.
이처럼 차이코프스키와는 여러 인연을 맺었던 루빈스타인이 파리에서 쉰 나이로 숨을 거둔 것은 1881년 3월 23일. 그의 후임으로 차이코프스키가 모스크바 음악원 원장 물망에 올랐으나, 그는 이를 사양하고 그 해 11월 로마로 떠난다. 그곳에서 차이코프스키는 폰 메크 부인에게 이런 편지를 보냈다.
“부인께서 언젠가 피아노와 바이올린과 첼로를 위한 3중주곡을 써보라고 하셨죠. 그리고 제가 그런 악기의 조합은 별로 내키지 않는다고도 분명히 말씀드렸어요. 그런데 갑자기 저는 그런 종류의 음악을 한번 써보고 싶습니다.”
그로부터 한 달도 되지 않아 1882년 1월 차이코프스키는 피아노 3중주곡의 스케치를 끝냈다. 그리고는 완성된 원고 위에 ‘한 위대한 예술가를 추억하며’라는 문구를 적어 넣었다. 그렇게 해서 탄생한 것이 바로 피아노 3중주 a단조 Op.50이다. 루빈스타인의 죽음은, 조울증에 가까울 만큼 감정 기복이 컸던 차이코프스키에게 상실감 또는 인생무상을 상당히 안겨주었을 것이다.
존경하는 선배의 죽음을 애도하여 작곡된 만큼 그렇지 않아도 특유의 감상으로 채색되고 있는 차이코프스키의 음악은 이 곡에서 더더욱 구슬픈 정서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면서도 치밀한 구성을 취한 점에서 이 곡은 그의 실내악 작품 5곡 중 가장 뛰어나다는 평을 듣는다. 특히 피아노 파트가 웅장하고 화려한데, 이는 당대의 명 피아니스트를 추모하는 것인 만큼 당연한 귀결일 터이다.
곡의 구성 및 특징
실내악 작법에 여전히 익숙하지 않았기 때문인지 차이콥스키는 이 작품을 처음부터 오케스트라 곡처럼 썼고, 피아노 파트는 거의 협주곡에 가까운 모양새로 갖추어 놓았었다. 차이콥스키는 작품을 다 쓴 다음 주위 사람을 모아 한 번 연주를 시켜본 후에 많은 부분을 수정하여 출판했다. 그러니까 작품의 현재 모습은 차이콥스키가 여러 번 수정 작업을 하여 연주자의 부담을 상당히 덜어놓은 것이다.
곡은 단 2악장으로 되어 있으나 변주곡인 2악장이 2개의 부분으로 나뉘어 있어 3악장 형식으로 생각할 수도 있다. 즉, 마지막의 변주와 코다는 그 자체만으로도 하나의 부분을 이루는 대규모여서, 악상은 이미 모두 나왔던 것이기는 하지만 실질적으로 3악장 구조로 볼 수 있다.
제1악장 Pezzo elegiaco(비가적인 악장) Moderato assai. a minor 4/4박자.
소나타 형식에 의한 웅대한 악장이다. 조용하게 흐르는 피아노의 분산 화음을 타고서 첼로의 표정이 풍부한 제1주제가 나타난다. 다시 새로운 선율이 제시됨녀 알레그로 지우스토 E장조로 바뀌어 제2주제를 피아노로 연주한다.
발전부는 비교적 짧은 셈이지만 내용적으로는 충실하다. 제1, 2주제를 위시해서 전개된 후 재현부로 옮겨져 피아노 첼로의 반주로 바이올린이 G 선상에서 제1주제를 연주하며 경과부를 지나서 ㅓ제2주제의 재현으로 옮겨진다. 마지막 제1주제에 의해 조용히 코다로 끝난다.
제2악장 제1부 Tema con Variazioni(주제와 변주)
주제는 E장조 안단테 콘 모토 4/4박자. 우선 피아노로 연주하는 주제인데, 지난 날 루빈스타인이 소원에 따라 농부들이 춤추며 노래하던 것을 생각하영 작곡한 것이라고 한다. 뒤이어 11개의 변주로 템포와 박자, 나아가서는 조바꿈을 하면서 여러 갈래로 변주한다.
제2악장 제2부 Variazione Finale e Coda(변주의 종곡과 코다) - Allegro risoluto con fuoco. A major.
힘찬 변주로 시작되는데, 뒤이어 제1악장의 제1주제와 제2주제를 묶은 경과부의 악상이 단편적으로 제시된다. 다시 바이올린과 첼로는 유니즌으로 제1악장 제1주제를 연주하고 템포가 바뀌어진다.
a단조 4/4박자. 피아노가 힘차게 연주하는 반주에 인도되어 바이올린과 첼로가 유니즌으로 제1주제를 연주한다. 다시 첫 템포로 돌아와 피아노가 조용히 장송 행진곡의 리듬을 연주하며 첼로와 바이올린은 사라지는 듯 아쉬워하면서 진행하다가 피아노로 여리게 끝난다.
글 출처 : 클래식 명곡 대사전(이성삼. 세광음악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