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llo Concerto No.1 in a minor, Op.33
작품 개요 및 배경
생상스가 작곡한 두 곡의 첼로 협주곡 중 널리 애호를 받는 작품으로 라틴적인 세련미와 더불어 게르만적 세계에 가까운 큰 스케일과 웅장함이 그의 다른 협주곡보다도 더욱 잘 결합된 수작이다. 자유로운 형식으로 끊임없이 연주되는 단 악장 형식이며, 이중 느린 4분의 3박자로 되어 있는 중간부분이 전곡의 긴장을 해소 시켜주는 아름다운 멜로디를 보인다.

파리 코뮨과 보불전쟁으로 상처 입은 프랑스 국민들의 자존심을 되찾기 위해 젊은 음악가들이 모여 1871년에 국민음악협회를 결성했다. 당시 생상은 30대 중반이었지만 4세부터 신동이란 소리를 들으며 음악계에 알려졌고 또 냉철하고 해박한 지식으로 명성이 자자해 의장으로 추대되었다. 협회의 목적 중 하나가 젊은 작곡가들의 작품을 널리 알리는 것이었는데, 생상의 첼로 협주곡도 그러한 정신에서 1872년에 작곡되어 그 다음해 체릴스트 톨베크에 의해 초연 되었다.

카잘스는 12세 때 생상의 지휘로 이 협주곡을 연주한 바 있었는데 작곡자로부터 이 곡이 베토벤의 전원 교향곡에서 영감을 얻었음을 들었다고 증언한다. 또한 생상의 첼로 협주곡도 슈만과 마찬가지로 빠르고-느리고-빠른 세 부분이 끊이지 않고 단일 악장 형식을 취하는데, 이는 슈만의 영향이라기보다는 베를리오즈나 리스트 같은 프랑스계 작곡가들이 19세기 후반에 시도한 교향시에서 비롯되는 것이다.

곡의 구성 및 특징

제1부 알레그로 논 트로포(Allegro non troppo-Animato-Allegro molto-Tempo)
  투티의 선두화음을 받아 첼로의 힘찬 주제가 나오는데, 이를 카잘스는 천둥번개로 설명하고 있다. 주제가 음을 옮겨가며 반복되는 동안 천둥번개는 잦아지고, D장조로 들어서면 그제서야 푸른 하늘을 볼 수 있게 된다고 한다. 반음계적인 연결악구를 지나 2주제가 넓은 음역을 오가며 서정적 노래를 부르나 완결되기 전에 전개부로 진입한다. 전개부에서 절정은 오케스트라가 주제를 발전시키고, 그 위를 첼로가 이중분산 화음으로 기교적 카덴차풍의 악절을 연주하는 부분이다.

  제 1주제는 율동적이고 리드미칼하며 음 넓이를 바꾸면서 다섯번 되풀이 되어 관현악으로 옮겨 갑니다. 제2 주제는 가장 여린 현의 반주 위에서 아름답게 연주되다가 현과 혼에 의한 화성적 움직임에 이끌려 전개부로 갑니다. 전개부는 제 1주제와 두 개의 동기를 나누어 발전의 재료로 하고 재현부에서는 제2주제만이 재현되며 곧 제 2악장으로 이어간다.

제2부 알레그레토 콘 모토(Allegretto con moto)
  미뉴에트풍의 주제선율을 투티가 노래하고 있는 동안 첼로의 우아한 대선율이 등장한다. 그러다 첼로가 분위기를 바꾸고 왈츠 같은 선율을 단독으로 연주하면 이때 현파트가 피치카토로 첫 음들을 퉁겨준다. 중간부분에서 짧은 첼로의 카덴차가 나온 다음 왈츠 선율이 계속되는데, 이때 투티는 다시 미뉴에트 선율을 부분적으로 시도한다. 끝부분에 도달하면 1악장의 주주제가 재등장하며 순환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짧은 스케르쪼로써 8마디로 이루어진 단 하나가 중심이며 경쾌로움과 우아함이 흐릅니다. 현의 피치카토,목관의 피치카토 음형사이사이를 독주 첼로가 누비면서 그대로 제 3악장으로 나아간다.

제3부 몰토 알레그로(Molto allegro)
  피날레는 ABCBA형식으로 짜여졌는데 A는 서정적 삽입절로, B는 기교적 발전부로, C는 낮은 음역으로 1악장의 전개부에서 보이던 표현적이고 남성적인 선율로 형성되었다. 특히 투티에 의한 주주제와 C의 남성적 삽입절은 A장조로 된 코다에 선행하는데, 1악장의 요소가 협주곡 끝에 다시 나타남으로써 불완전한 재현부를 보강하고 또한 협주곡의 순환적 면모를 확인시키면서 작품의 완성도와 통일감을 높여주는 효과를 가져온다.

  제 1악장과 같은 박자,같은 템포로써 B플렛장조의 제1주제를 중심으로 협주곡다운 기교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제일 강한 클라이맥스 후에는 독주 첼로가 새로운 F장조의 풍부하고 폭넓은 가락을 한동안 계속합니다. 코다는 A장조로 점점 약동적인 가락으로 부풀어 올라 스트레토의 느낌으로 느낌으로 전 곡을 마친다.

글 출처 : 오작교의 테마음악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