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ymphony No.4 in e minor Op.98 1884년 51세 때 브람스는 작곡가로서 상당한 지위와 명예를 확보하였지만 개인적으로는 독신으로 가정도 없고 이즈음에는 친구들의 사별도 잦아지는 인생의 가을을 접하고 있을 때였다. 이해 여름 그는 빈 남서쪽의 뮈르츠실라흐(Murzzuschlag)란 곳에서 교향곡으로는 마지막이 될 4번의 작곡에 착수하게 된다. 뮈르츠실라흐는 브람스가 2년 계속해서 올 정도의 그의 마음에 들었던 곳으로 클라라(Clara Schumann)에게 보낸 편지에서도 “놀랄 만큼 아름다운 곳으로 마법과 같은 달밤의 하루를 당신과 보내고 싶어진다”고 할 정도였다. 그리하여 2개 악장은 연내에 쓰고 나머지 2개 악장은 다음 해 1885년 여름에 완성하게 된다. 20년이 넘는 1번에 비하면 다소 짧은 기간에 대작을 완성한 셈인데, 말하자면 마음에 드는 좋은 곳에서 전심전력을 다해 정성과 공을 들인 작품인 것이다. 곡의 초연은 완성 다음 해인 1886년 10월 브람스 자신의 지휘로 마이닝겐(Meiningen) 궁정 관현악단에 의해 이루어졌다. 연주는 대성공이었고 특히 3악장의 반응이 굉장하여 다시 연주될 정도였다. 그 후 뷜로와 브람스가 지휘하는 마이닝겐 관현악단을 비롯하여 열두 군데가 넘는 여러 도시에서 반복 연주되었다. 또한 빈에서는 리히터가 지휘하는 빈 필하모닉의 연주로, 그리고 라이프치히에서는 브람스가 지휘하는 게반트하우스 오케스트라에 의해 연주, 큰 성공을 거두었다. 빈은 그의 교향곡 2번과 3번에는 열광하였지만 1번 교향곡에 대해선 지독히도 냉담한 반응을 보인 도시였고, 이와는 반대로 지적으로 진지한 도시인 라이프치히는 1번이나 2번이나 3번보다 더 좋은 평을 받았던 곳이기도 했다. 결국 4번 교향곡을 통해 두 도시의 반응이 마침내 올바른 것으로 형성되었고 이런 사실에 브람스 자신도 매우 흡족해 하였다. 물론 공공연한 브람스의 반대파였던 바그너파를 제외하고 말이다. 브람스가 임종의 자리에 누워 있을 때 어떤 이가 이렇게 물었다고 한다. “선생님의 작품 중에서 어느 것을 가장 좋아하십니까?” “어느 것이냐고? 그냐 제일 나중에 들었던 것이지.” 여기서 제일 나중에 들은 것이란 죽기 1개월 전 빈 필하모닉의 연주를 들은 교향곡 4번이었다. 말하자면 작곡가 스스로도 가장 높게 평가했던 것이자 노경(老境)에 무르익은 내적 세계가 잘 표출된 마지막 걸작의 하나라 하겠다. 이런 4번 교향곡은 이전의 3개의 교향곡과는 판이하게 다르다. 그것은 형식뿐만 아니라 곡의 성격에서도 상당한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 브람스 자신도 뷜로에게 보낸 편지에서 “나는 이 곡에서 이곳의 기후 같은 냄새가 나서 실은 매우 걱정을 하고 있다”라고 하여 곡의 텁텁함을 인정하고 있는데, 예전 교향곡에서는 볼 수 없는 애수에 젖은 어두운 고독, 우수가 처절히 드러나 있고 곡 전체에는 고립적인 은빛 간은 것이 빛나고 있다. 특히 늦가을의 허전한 적막감을 전해 주며 내성적인 체념의 울부짖음과 같이 인간의 영혼에 강렬히 소소하는 감명을 주고 있다. 한편 형식에서는 2악장에 교회선법의 일종인 프리기아(phrygian mode) 선법을 쓰고 있고 가장 특이한 것은 끝악장에는 파사칼리아(passacaglia)를 도입 과거로의 회귀 취향을 나타냈다는 것이다. 이런 파사칼리아가 어디서 유래했는지는 정확하지 않지만 평소 가가 존경하던 바흐의 칸타타 150번<주여! 저는 우러러봅니다(Nach dir! Herr, Verlangent mich)>의 마지막 합창의 샤콘느(chaconne) 주제와 유사성을 드러내고 있다. 물론 예전 사람들이 그러했듯이 따로 악보에다가 ‘파사칼리아’라든가 ‘샤콘느’라고 적고 있지는 않다. 이는 <하이든 주제의 의한 변주곡>의 마지막 곡의 경우와 같다. 또한 브람스와 뷜로와의 대화에서 이 바흐의 주제를 기초로 하여 교향곡을 쓰면 어떻겠느냐고 말한 적도 있어 이런 추측을 뒷받침하고 있다. 이렇게 무자비할 정도로 진지하고 텁텁한 분위기와 낡고 고풍스런 관현악법 탓에 초연의 성공과는 별개로 처음에는 수수께끼 같은 곡이란 평을 들으며 단기간에 큰 호응을 얻지는 못했다. 친구인 칼베크도 이 곡의 발표를 미루자고 할 정도였고 말러는 ‘텅텅 빈 음의 사닥다리’라고 비꼬기까지 했다. 하지만 뷜로는 “이 곡은 아주 빼어나다. 독창적이고 신선하며 마치 철과 은 개성을 가지고 있다. 그리 탄할 만한 에너지가 처음부터 끝까지 꿈틀거리고 있다.”라고 곡의 위대성을 미리부터 꿰뚫어 보기도 하였다. 1악장은 비통한 애수가 가득 찬 인생의 가을을 말해주고 있다. 2악장은 마치 상냥한 노래처럼 들리는데, 이것은 평생을 사모했던 클라라에 한 심경을 간곡히 토로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래서 마치 베일을 덮은 조용한 아름다움이 비길 데 없다. 또한 3악장은 쓸쓸함을 벗어나려고 즐거워하면서도 항상 명상하지 않을 수 없었던 브람스 자신의 성격을 대변하고 있다. 그리고 4악장은 가을이 더욱 깊어진 만추(晩秋)인데 무언지 모를 감회와 잔잔한 슬픔의 그림자가 찬연히 빛나고 있다. 마치 늦가을 황량한 벌판을 걸어가는 작곡가 자신의 멜랑꼴리한 고독이 깊은 여울에 후물거리는 듯하다. 그래서 곡을 듣노라면 고풍스러우며 인간의 연속적인 과거로의 추억적 공감을 자아낸다. 특히 인생의 고독한 체험이 가슴 깊이 와 닿는다. 이런 허전함은 브람스의 것이자 만인의 것으로 큰 위안을 주고 있어 브람스적인 체관은 마음에 스며드는 언어이기도 하다. 출처 : 불후의 클래식(허재, 책과음악)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