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코프스키와 피아노 협주곡 제1번
차이코프스키가 남긴 피아노의 관현악을 위한 작품은 3곡의 협주곡과 ‘협주적 환상곡’ Op.56으로 모두 4곡이다. 이 중 협주곡 3번은 1악장의 미완성곡이다.
이런 작품 중에서 가장 뛰어난 작품이라면 역시 협주곡 1번으로 고금의 여러 피아노 협주곡 중에서도 돋보이는 명곡이 아닐 수 없고, 특히 뛰어난 연주 효과로 인해 연주회에서도 가장 인기 높은 레퍼토리의 하나로 자리한다.
또한 차이코프스키 개인으로서는 일약 세계적인 명성을 가져다 준 작품이기도 하다.
자곡은 1874년 10월 그의 나이 34세 때에 착수하였는데, 11월 10일 동생 모데스트(Modest Tchaikovsky, 1850~1916)에게 보낸 편지에서 ‘피아노 협주곡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라는 말을 남기고 있다.
곡은 모스크바 음악원 초대 원장이자 당대 대피아니스트인 니콜라이 루빈스타인(Nikolay Rubinstein, 1835~1881)에게 헌정하려고 하였다.
그래서 니콜라이를 놀래 주려고 작곡 사실을 숨겼고 12월 24일에 먼저 1악장을 들려주고 의견을 물었다. 이 자리에는 음악원 동료인 후버트(Nikolay Hubert(Gubert), 1840~1888)도 참석하였다.
그러나 루빈스타인은 ‘곡이 독창성이 없고 졸렬하고 서투른 것이라 연주가 불가능하다’라는 악의에 찬 평을 하였다. 또한 산술 더 떠 자신의 뜻대로 고친다면 초연 할 수도 있다고 하여 차이코프스키를 매우 화나게 만들었다.
한편 나중에 차이코프스키는 이 일에 대해 메크 부인에게 편지를 보내어 다음 같아 밝히고 있다.
“1악장 연주 후 불쾌한 침묵이 흐르고 나는 어떠냐고 물었습니다. 그러자 루빈스타인은 마구 지껄이기 시작했는데, 이 곡은 연주가 불가능하며 그럴 가치도 없는 것이다. 작곡 자체도 서툴러서 쓸 만한 곳은 2, 3페이지에 불과하다. 나는 한마디도 대꾸하지 않고 2층으로 올라가 버렸습니다.
나는 분노와 흥분으로 가득 차 있었습니다. 조금 있다가 루빈스타인이 올라와 현재로는 연주가 불가능하니 자기가 지적해 주는 몇 부분을 고치면 연주해도 좋겠다고 말했습니다. 나는 이에 음표 하나라도 고칠 수 없고 그대로 악보를 인쇄하겠다고 했습니다.”
그래서 차이코프스키는 다음 해 1875년 2월 전곡을 완성하여 제자이며 피아노의 명수인 타네예프(Sergey Taneyev, 1856~1915)에게 헌정하려 하였으나 다시 뜻을 바꾸어 뵐로(Hans von Bulow, 1830~1894)에게 초연을 부탁한다. 뷜로는 지휘자로서 뿐만 아니라 피아니스트로서도 유명하였고 이미 이 곡을 연주하며 높게 평가하고 있던 터였다.
또한 뷜로가 연주하는 것에 감명 받은 일도 있어 흔쾌히 헌정을 하게 된다.
이에 뷜로는 독창적인 걸작이라 칭송하며 1875년 10월 25일 러시아가 아닌 미국 보스턴에서 랭(Benjamin Johnson Lang, 1837~1909, 미국)의 지휘와 자신의 피아노 연주로 초연하여 대단한 성공을 거두었다. 특히 연주 자체도 훌륭하여 마지막 악장을 두 번이나 연주할 정도였다고 한다.
그리고 일주일 뒤인 11월 1일 페테르부르크에서 크로스(Gustav Kross)의 피아노와 나프라브니크(Eduard Napravnik, 1839~1916, 체코) 지휘로 러시아 초연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21일에는 모스크바에서 루빈스타인의 지휘와 타네예프의 피아노로 연주되었다.
이렇게 루빈스타인도 이 협주곡의 가치를 인정하였고 1878년 파리에서는 자신이 직접 연주하여 크게 호평 받게 되었던 것이다. 그리고는 혹평을 한 것을 사과하고는 두 사람은 우정을 다시 되찾게 된다. 훗날 차이코프스키는 이런 루빈스타인이 파리에서 객사하자 <위대한 예술가의 추억>이라는 피아노 3중주곡을 남기기도 하였다.
한편 루빈스타인이 혹평을 한 이유는 피아노 작곡이 대선배인 자신에게 차이코프스키가 조언을 구하지 않았던 것이라고 토로하고 있다. 그리고 루빈스타인 사후인 1888년 차이코프스키는 곡을 손질하여 더욱 더 완벽한 곡으로 완성시킨다. 그래서 뷜로가 초연 한 악보는 1874-75년판이고 지금 우리가 듣는 것은 1888년판이 된다. 이것은 마치 두 음악가의 자존심 대결 같은 것이었는데, 결국은 루빈스타인의 지적이 맞는 것이었고 차이코프스키는 그런 지적을 받아들여 우정을 되찾음과 동시에 곡의 완성도를 더욱 높였던 것이다. 비록 루비스타인이 죽은 지 7년 뒤였지만······.
이렇듯 우여곡절 끝에 탄생한 역작으로 피아노와 관현악이 혼연일체가 되어 자아내는 러시아 특유의 감미로운 선율로 절대저거 지지를 얻고 있다. 특히 1악장 시작부의 혼의 울림이 아주 인상적이며 3악장의 압도적인 피날레는 카타르시스를 느낄 만큼 걸출한 것이라 하겠다.
곡은 세련되어 있지만 유럽적인 화려한 것은 아니며 러시아적인 것과 슬라브의 중후한 선과 색채적인 관현악이 잘 나타나 있다. 루빈스타인의 지적대로 다소 연주 상의 난점을 가지고 있어 뛰어난 기교가 요구되며 특히 3악장이 더욱 그러한다. 또한 특징은 관현악의 웅대한 울림과 러시아적인 정감의 표출 그리고 화려한 피아노의 독주인데 친근하면서도 강렬한 슬라브의 정취를 전해 주는 것이라 하겠다.
출처 : 불후의 클래식(허재, 책과 음악)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