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oading...
  • Loading...
INTRODUCTION

1. Luigi Boccherini : String Quintet In E Major Op.11-5 (G.275) - III. Menuetto

18세기 이탈리아의 고전파 작곡가로 활약한 음악가 보케르니의 작품. 프랑스 궁중에서 쓰였던 가볍고 우아한 4분의 3박자 의 춤곡으로, 17세기경 프랑스의 농촌에서 무도곡으로 시작되어 급기야 궁중의 화려한 무도회의 음악으로 각광받은 작품. <보케르니의 미뉴엣>은 피치카토 반주를 타고 연주되는 우아하고 품위 있는 대표적인 미뉴엣이다.

이곡은 1788년에 작곡한 [두 개의 첼로를 위한 5중주,op.50-2]의 첫 악장에 바탕을 두고 있는데, 그가 만든 12개의 기타 5중주곡 중 첫 곡 라장조 3악장에서 다시 인용하였다. 3악장 첫머리 서주의 성격을 띠는 그라베 아싸이(Grave assai)에 이어, 빠른 템포의 판당고는 기타의 힘찬 라스기아도 주법과 첼로의 쉼 사이에 타악기인 캐스터네츠를 울려주어 에스파냐 냄새를 더욱 강렬하게 맛보여 주고 있다.

2. Suppe : Overture Light Cavalry

주페(Franz von Suppe)가 차르다슈 등 헝가리 춤곡 선율을 사용해서 1866년에 만든 희가극으로 빈의 시인 코스타의 대본에 의한 군대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이 서곡은 극중에 나오는 다섯 개의 주요 테마들을 발췌해서 세도막 형식으로 엮은 것이다.

트럼펫과 호른이 신호 나팔처럼 드높이 울리고 트롬본이 이에 답한다. 뒤이은 행진곡은 말발굽 소리를 연상시키면서 경기병의 행진을 묘사한다. 전쟁에서 죽은 전우를 애도하는 듯한 조용한 단조의 헝가리풍 선율이 첼로와 바이올린으로 연주되며, 다시 경쾌한 행진곡과 장대한 클라이맥스로 마무리된다.

3. Saint Saens : The Carnival Of Animal, Mov 13 'The Swan'

프랑스 음악부흥의 선구자인 <생상>의 대표적인 작품. 1886년 샤를느 르보크가 주최하는 사육제의 음악회에서 청중들을 놀라게 해 주려고 작곡한 작품.

모두 14곡으로 된 이 모음곡에는 당시의 사람들이 알고있는 명곡들을 삽입해 흥미를 주고 있으며, 이 중 특히 제13곡의 <백조>는 독주곡으로 편곡되어 하프의 아르페지오를 타고 흐르는 첼로의 아름다운 멜로디는 호수의 여왕 백조를 방불케한다.

카미유 생상스의 동물의 사육제 중 13악장 백조'(Le cygne)는 28소절로 이루어졌으며, 백조'(Le cygne)는 안단티노 그라지오소 6/4 박자 사장조 첼로 독주곡으로 유명한 곡으로 생전의 공개 연주 및 악보 출판이 허용된 유일한 곡이다.

4. Johann Strauss II : The Beautiful Blue Danube Waltz, op 314

영어로 다뉴브(Danube) 강으로 불리는 이 강을 독일에서는 도나우(Donau), 헝가리에서는 두나(Duna)라고 부르는데, 이 강은 볼가 강에 이어 유럽에서 두 번째로 긴 강이다.

유럽의 주요 강 중 유일하게 서쪽에서 동쪽으로 흐르며, 독일의 슈바르츠발트(Schwarzwald; 검은 숲) 지역의 브리가흐(Brigach)와 브레크(Breg) 두 지류가 도나우에싱겐(Donaueschingen)에서 합쳐진 다음부터는 도나우(Donau) 강으로 불리우게 된다.

약 2850km의 거리를 남동쪽을 향해 흘러 루마니아의 다뉴브 삼각주 지대에서 흑해로 흐르는 아주 긴 강으로서 중요한 국제 수로이자 옛 로마제국과 게르만족의 국경선이기도 했으나 로마제국 말기에는 훈족과 게르만족이 이 강을 넘어 서남유럽을 공격하기도 하였다.

독일, 헝가리, 루마니아, 몰도바, 불가리아, 세르비아, 슬로바키아, 오스트리아, 우크라이나, 크로아티아 등 총 10개 나라를 지나가며, 지류까지 포함하면 총 17개 나라가 포함되는 유럽의 아름다운 강으로서, 다뉴브(Danube) 강 연안의 주요 도시는 독일의 울름(Ulm), 오스트리아의 빈(Wien), 슬로바키아의 브라타슬라바(Bratislava), 세르비나의 베로그라드(Belgrade), 헝가리의 부다페스트(Budapest) 등이 있다.

독일인들은 왈츠를 자기네의 지방무용인 "랭드라 : Landler"에서 기원하였다고 한다. 이러한 왈츠가 유럽의 전지역에서 전성기를 이루게 된 것은 슈베르트(Schubert)나 스트라우스(Strauss)등 그 외의 많은 음악 대가들이 불멸의 왈츠 명곡들을 작곡하였다.

19세기 무렵부터였으며 이러한 빠른 템포(1분간 60소절)의 왈츠는 라운드 턴(Round Turn : 360도의 회전)을 사용하는 로타리 왈츠(Rotary Waltz)였다. 19세기 중엽에는 요한 스트라우스(Johann Straus) 풍의 비엔나왈츠(Vienna Waltz)가 오스트리아의 수도인 빈(Wien)에서 시작하여 대중화 되었으며, 19세기 후반에 이르러 미국에선 보스톤왈츠(Boston Waltz)란 것이 발생하여 많은 유행을 하게 되었다.

비엔나적 기질의 달콤한 선율의 많은 요한 스트라우스 왈츠곡 중에서도 가장 아름다운 걸작, 1867년 궁중 무도회 악장으로 재임하고 있을 무렵에 완성되었다. 낙천적이고 온화하고 어떤 역경속에서도 행복을 발견해서 즐기려고 하는 빈 사람들의 기질을 푸른 다뉴브강의 아름다운 풍경으로 하여 잘 묘사되어 있다.

5. Beethoven : Bagatelle for Piano in a minor "Für Elise" WoO 59 Op.173

이 곡은 멜로디가 경쾌하고 비교적 연주가 쉬워, 특히 어린이들이 즐겨 연주하는 깔끔하고 사랑스런 피아노 소품이다.

엘리제가 어떤 여성인지는 밝혀지지 않고 있는데, 베토벤이 그 초고에 '테레제의 추억을 위해, 1810년 4월27일, L V,Beethoven'이라 쓴 것으로 보아,딩시 베토벤이 연정을 품고 있던 17살의 여성인 테레제 마르파티가 아닐까하고 추정되며, 아름다운 여성에게 바치기 위한 곡이었던 만큼 열정과 재치가 뛰어난 작품이다.

'피아노 솔로를 위한 바가텔 a단조', 일명 '엘리제를 위하여'로 불리는 이 음악만큼 전 세계 사람들의 귀에 낯익은 멜로디는 없을 것이다. 그 단순하지만 애절하게 아름다운 이 환상적인 소네트는 200년이 넘는 동안 사람들로 하여금 상상의 나래를 활짝 펴게끔 해준 명곡 가운데 명곡으로 손꼽힌다.

오른손의 특징적인 멜로디와 왼손의 아르페지오 반주로 시작하며 소심한 듯한 격정적인 발전부와 짧은 카덴차가 지나간 뒤 다시금 반복부로 접어든다. 처음 시작부의 그 아륾다움을 다시 한번 발산한 뒤 공기 속으로 사그러지듯 마루리되는 이 곡은 무척이나 간결하고 짧지만 그 안에 담겨 있는 의미와 역사적인 배경은 비장하다 못해 미스터리하다.

6. Sibelius : Symphonic poem 'Finlandia' Op.26 No.7

교향시 “핀란디아”는핀란드의 자연을 연상시키고 핀란드 민중들의 투쟁 정신을 고취하는 휘몰아치는 북유럽의 바람같은 음악이다. 끝부분으로 가면서 고요한 가운데 장엄하게 “핀란디아 찬가”가 들려온다. 이 부분은 민요가 아니라 시벨리우스 자신이 작곡한 곡이지만 핀란드의 특성을 고스란히 반영했다.

시벨리우스는 [핀란디아 찬가]를 독자적인 작품으로 손질했다. 이 찬가는 1941년 시인 베이코 안테로 코스켄니에미가 가사를 붙인 것을 시벨리우스가 합창용으로 편곡했다. 당시 스탈린 치하 소련의 침략 위협 하에 있던 핀란드 사람들을 분발시킨 곡으로, 핀란드 제2의 국가라고 할 정도로 널리 불려진 노래다. 나중에 핀란드 출신의 영화감독 레니 할렌의 액션영화 [다이하드 2]에 사용되기도 했다.

[핀란디아]는 서주로 시작된다. 첫 서주인 안단테 소스테누토에서 금관악기는 음울하게 울부짖으며 북유럽의 빙하를 연상시킨다. 목관은 종교적인 분위기로 답하며 현은 인간적인 선율을 연주한다. 두 번째 서주에서 템포는 알레그로 모데라토로 바뀌며 팀파니의 트레몰로를 타고 금관 팡파르가 곡의 핵심적인 리듬을 예고하며 긴박감을 높여주고 심벌즈의 타격은 투쟁 정신을 고조시킨다.

템포는 다시 알레그로로 변하며 장조로 활발하게 진행되면서 승리의 자신감을 나타낸다. 힘찬 2개의 주제가 애국심을 고취시키며 클라이맥스에 이른다. 점차 발전하면서 금관악기와 팀파니의 연주로 모든 악기가 동원되어 이를 강조한다. 현악기와 목관악기가 여러 갈래로 진행하다가 슬픈 민요풍의 표정이 풍부한 노래가 나온다. 음악은 분위기가 고조되고 특징적인 리듬이 첨가되며 발전하다가 승리를 선언하듯 힘찬 기상으로 끝을 맺는다.

7. Beethoven : Piano Sonata No.14 in c# minor 'Moonlight', op.27 #2 1st.mov. Adagio

음악에 붙여진 부제 때문에 통속화되는 일은 그 예가 적지 않지만 그중에서도 이 월광 소나타만큼 부제 때문에 유명해진 곡도 없을 것이다.

월광이라는 호칭은 렐시타프(L.Rellstab)가 이곡의 1악장을 형용하여 "스위스 루째른 호의 달빛에 비치는 물결에 흔들거리는 작은 배 같다"고 말한 데서 시작되었다고 한다.

렐시타프의 태어난 해로 미루어 보아 '월광'이란 부제가 일반적으로 붙여지게 된 것은 출판 후 상당히 오래되어서인데, 이 곡은 처음부터 매우 인기가 있었던 모양으로 베토벤은 그것은 약간 불쾌하게 생각하고 있었던 것 같다.

그러나,문학적 공상을 부르는 요소가 매우 강한 것이 인기를 부른 원인이 된 것은 부정할 수 없으며,'월광' 이외에도 여러 가지 독창적 해석이 나오게 된 것 또한 마찬가지다.

이 소나타도 베토벤 자신이 명명한 작품 27의 1과 마찬가지로 <환상곡풍 소나타>이다.
제1악장은 소나타 형식을 버리고 환상적,즉흥적인 부드러운 서정에 투철하고 제2악장에서 그 기분은 전환되어 이 소나타의 중심인 3악장에 도달한다. 그 3악장의 정열의 奔流(분류)는 그 무렵의 피아노 소나타에서는 그 유례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격렬한 것이고 또 매우 훌륭한 구성을 가진 소나타 형식이다.

제1악장의 명상이나 제 3악장의 격정을 당시의 베토벤의 연애사건,귀질환, 그리고 1802년의 '하일리겐시타트 유서'로 이어지는 비극과 결부해서 생각할 수 있으나 그러한 구체적인 것과 관련지을 자료는 물론 아무것도 없다.

이 곡은 백작이 영애 줄리에타 구이치아르디(Giulietta Guicciardi)에게 헌정되었다.
베토벤은 14세 연하인 이 여성과 알게 되었는데,그녀는 15세의 나이로 빈에 와 베토벤에게서 피아노를 배우고 있었다.베토벤은 이 매력적인 소녀에게 마음을 빼앗겨 버렸다.

1801년 11월 16일자 편지에는 다음과 같이 적혀있다.

"이번의 변화는 귀여운 한 여인 때문입니다. 그녀는 나를 사랑하고 나도 그녀를 사랑하고 있습니다. 2년만에 행복한 순간이 찾아왔습니다. 결혼하여 행복해지리란 것을 생각해 본 적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다만,유감스럽게도 신분이 다르다는 것이 문제입니다."

결국 신분의 차이 때문에 이 연애는 열매를 맺지 못하고 1803년 구이치아르디는 백작과 결혼해 이탈리아로 떠났다. 베토벤은 처음 이 곡을 구치아르디에게 바쳤던 것은 아니다.[G장조 론도 Op.51-2]를 바칠 예정이었으나 이미 그 곡이 리히노프키 백작의 딸 헨리에테에게 바쳐졌기에 예정을 변경하여 이 소나타 [C#단조 소나타]를 그녀에게 돌렸다고 전해진다.

그렇다면 이 헌장은 말하자면 임시 변통으로, 이 곡 제3악장의 격렬함을 구이치아르디에 대한 직접적인 호소로 해석하는 것은 조금 지나친 비약적 해석이라 할 수도 있겠다.

8. Mozart, Piano Sonata No.11 in A major, K.331, 3rd.Mov 'Alla Turca' Allegretto

이 곡은 모차르트가 22세인 1778년 5~7월 사이에 여행지인 파리에서 작곡한 것으로 알려져 있었지만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빈이나 잘츠부르크에서 1783년에 작곡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터키 풍의 론도로 되어 있는 마지막 악장 ‘터키 풍으로 Alla Turca’는 모차르트의 모든 피아노 작품 가운데 ‘터키 행진곡’이라는 제목으로 가장 잘 알려진 곡이다.

‘터키 행진곡’이라는 타이틀은 3악장의 리듬이 터키 군악대 리듬과 같다고 후대에 붙여진 별명이다. 본래 ‘터키 행진곡’이란 이름이 붙은 곡으로는 베토벤의 작품이 있다. 베토벤의 ‘터키 행진곡’은 그가 1811년에 작곡한 극음악 <아테네의 폐허> Op.113라는 작품의 4번째 곡인 오케스트라 작품이다.

터키의 군악대가 행진곡을 연주하면서 지나가는 장면을 묘사하고 있는데, 모차르트 역시 3악장에서 당대에 유행했던 터키 풍의 취미를 반영했으며 터키 군악대의 음악 양식을 모방했다. 당시 터키 군악대의 음악은 유럽에 크게 유행하고 있었다.

오스만 터키 제국은 세계 최초로 군악대를 정규병과로 개설한 국가였다. 오스만 군대의 군악대를 메흐테르(mehter)라고 부르는데, 메흐테르 군악대는 위풍당당한 모습과 위협적인 음악으로 오스만 터키의 유럽 침공 시 유럽인들에게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 이 터키 군악대의 음악이 18세기 후반~19세기 초에 걸쳐 오스트리아 빈을 중심으로 유럽에 퍼져 폭넓게 유행했고, 음악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터키 스타일을 모방하는 붐이 일어났다.

터키 군악대의 음악은 리듬, 형식, 악기 편성이 유럽의 음악과는 많이 달랐으며, 팀파니와 비슷하게 생긴 큰북과 같은 타악기를 적극적으로 쓰면서 다이내믹하고 힘찬 소리를 만들어냈다. 이 특징적인 면이 유럽인들에게 강하게 어필했으며 당시 하이든, 모차르트와 같은 유명 작곡가들에게 음악적 아이디어를 제공하기도 했다. 모차르트는 피아노 소나타 K.331에 앞서 바이올린 협주곡 5번 3악장에도 터키 스타일의 행진곡 리듬을 사용한 적이 있으며, 오페라 <후궁으로부터의 도주>에서도 터키의 이국적인 매력과 풍물을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9. Dvorak : Symphony No. 9 in e minor, Op. 95 'From The New World' 2nd Mov. Largo

교향곡 "신세계로부터"는 1893년 드보르작이 미국에 머물던 3년이라는 기간에 만들어진 곡으로 그는 고향에 대한 향수를 달래기 위해 보헤미아의 이주민이 사는 촌락 등을 찾아 다녔으며 거기에서 그들에게 유행하는 아메리카 인디언의 음악과 흑인의 민요에 감명을 받았다. 그리고 그 당시 미국인들도 잘 알지 못하던 흑인영가를 이 교향곡에 사용한다.

From the New World'라는 이름은 당시 원장으로 있었던 뉴욕 국립 음악원의 창설자 자넷 사바 부인의 제안에 의해서 붙여지게 된 것으로 여기서 신세계는 미국을 의미한다. "신세계로부터" 교향곡은 총 4악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에 실린 곡은 이중 제2악장 라르고이다.

5음 음계로 이루어진 아름다운 선율은 이 교향곡을 유명하게 하였으며 드보르작의 향수를 느낄 수 있다. 잉글리시 호른에 의해 연주되는 약간은 쓸쓸한 이 선율은 흑인 영가에서 영향을 받았다고 한다. 드보르작은 뉴욕 생활을 계속하는 동안 심한 향수에 빠져 견딜 수 없었으므로 미국의 일부이긴 했으나 고향 보히미아를 그대로 옮겨 놓은 듯한 아이오와주의 스필빌에서 시끄러운 도시를 피해 요양하고 있었다. 창작에 몰두 할 수 있었던 것은 이 때인데 「신세계로부터」는 여기서 완성되어 1893년12월 뉴욕에서 초연되었다.

10. Brahms : Hungarian Dance No.5 in g minor

브람스가 20세 때 그의 고향인 함부르크에 있을 무렵 그 곳에 정치적인 이유로 망명해 온 헝가리의 명바이올리니스트 레메니이(E. Remenyi, 1830~1898)와 함께 연주 여행을 하면서 피아노 반주를 한 일이 있다. 그는 그 당시 그에게서 헝가리의 음악에 대해서 많이 배웠는데 그래서 헝가리 무곡에 깊은 관심을 갖게 되었다. 그러므로 이 곡은 그의 작품에 헝가리 음악을 인용하여 만든 대표적인 곡이라 하겠다.

그는 21곡의 4권으로 된 피아노 연탄곡집을 발간하였는데, 36세 때 제1, 2권을 발간하였고 47세 대 제3, 4권을 출판하였다. 이 곡은 브람스 자신이 피아노 독주곡으로 개편한 곡도 있으며 어떤 것은 그의 친구인 명바이올리니스트 요아힘의 편곡으로 된 것도 있다. 그런데 헝가리의 무곡이라 할지라도 우리가 생각하는 헝가리의 국민적인 작곡가 바르토크처럼 순수한 것은 아니다.

한편 멜로디에 있어서도 그의 창작인지 아니면 헝가리 민요를 그대로 사용한 것인가에 대하여도 이견을 가지고 있다. 아무튼 헝가리의 마자르 민족의 국민 무도곡조를 기반으로 하여 이스트의 헝가리 랩소디와 함께 국민음악의 우수한 전형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여기에 사용된 주요 선율은 헝가리의 무도 형식인 차르다시(Czardas)를 바탕으로 한 것인데 차르다시는 느리고 우울한 랏센(Lassen)조와 템포가 아주 빠르고 격렬한 야성적인 프리스카(Friska)라는 조로 되어 있다. 말하자면 이 두 개의 독특한 특징이 헝가리 사람의 국민적인 특징으로 나타났다. 그의 곡 중에서도 제5번과 제6번이 제일 많이 알려져 있다.

11. Vivaldi : The Four Season 'Spring' 1st Mov. Allegro)

4계 중 "봄" 1악장은 기다렸던 봄이 와서 기뻐하는 사람들과 새들의 모양이 밝게 묘사되어 있는 작품으로서, 악보에는 다음과 같은 '소네트(Sonnet/서양 시가(詩歌)의 한 형식으로, 14행으로 이루어진 짧은 시[詩])'가 쓰여 있다.

"봄이 왔다. 새는 기쁜 노래로써 봄 인사를 한다. 샘은 산들바람에 상냥히 속삭이면서 넘쳐흐르기 시작한다. 그러자 하늘은 어두워지고 천둥과 번개가 봄을 알린다. 폭풍우가 지난 뒤, 새들은 다시 아름다운 노래를 부른다."

'리토르넬로(Ritornello)' 형식인데 묘사 음으로 훌륭한 곡이다.

제1악장 '알레그로(Allegro)'는 "봄이 왔도다"라는 시가 첫머리에 놓이며, '총주(오케스트라에서 모든 악기가 함께 나오는 부분을 뜻합니다)'로 민속적인 주선율이 시작되는데, 이 '총주(오케스트라에서 모든 악기가 함께 나오는 부분을 뜻한다)' 부분은 항상 같은 음악을 연주하는 '리토르넬로(Ritornello/음악에서 대조되는 성격의 삽입악구들 사이사이에서 반복되는 부분)'이다.

물론 '리토르넬로(Ritornello)'는 그 길이가 길 수도, 더 짧을 수도 있으며, 그 후에 바이올린 독주 부분이 뒤따른다.

첫 독주 부분은 3개의 독주 바이올린에 의해 '트릴(Trill/떨리는 소리)' 기법과 '스타카토(Staccato/한 음씩 매우 짧게 끊어 연주하는 것)'로 새들의 노래가 음악으로 모방되고, 그 다음에 샘물이 졸졸 흐르는 소리, 산들바람이 부는 부분이 뒤따르며, 그러다가 천둥(트레몰로[tremolo/한 음이나 여러 개의 음을 빨리 되풀이하여 떨리는 듯이 연주하는 방법])과 번개(빠른 '패시지[Passage/독주 기악곡에서, 곡의 중요한 부분을 서로 연결해 주는 악구]'와 삼화음 음형)가 치고, 그러나 악천후가 지나가면서 새들이 다시 노래를 한다. 밝은 봄의 분위기가 여린 소리로 울리며 끝난다.

유명한 봄이 옴을 알리는 테마가 현악 총주되면서 시작되고, 독주 바이얼린, 제1 제2 바이얼린 '파트(Part)의 '트릴(Trill/떨리는 소리)'기법' 으로 작은 새들의 지저귐이 묘사되고, 바이얼린의 16분 음표 음형으로 샘물이 솟아오르는 모습을 묘사하고 있으며, 천둥과 번개는 '투티(Tutti/전 합주)'와 현악기들의 32분음표 '트레몰로(Tremolo/한 음이나 여러 개의 음을 빨리 되풀이하여 떨리는 듯이 연주하는 방법)' 기법으로 표현되고 있다.

12. Beethoven : Symphony No.6 in F Major, Op.68 'Pastoral' 2nd.Mov. Andante molto mosso

제 5번과 쌍둥이 격이라고 볼 수 있는 이 곡은 1808년 여름, 그가 유서를 썼던 하이라겐슈타트에서 완성하였다. 제 5번은 인간을, 그리고 제 6번은 자연을 그리고 있다. 전자는 남성적인데 비하여 후자는 여성적이다. 이와 같이 두 교향곡은 서로 대조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

‘전원’이라는 표제는 베토벤이 스스로 붙인 것인데, 그는 또 각 악장마다 짧은 표제를 붙여서 각각의 정경을 묘사하였다. 이러한 표제는 그 후 낭만파 음악에서 성하게 된 ‘표제 음악’의 길을 열었다고 볼 수 있다. 이 곡의 또 하나의 특징은 그 때까지 교향곡의 형식이던 4악장을 5악장으로 늘린 점이다.

그러나 ‘전원’이라는 표제를 붙였다고 표제 음악이라고 볼 수는 없다. 이 곡은 시골의 평화로운 정경과 자연에서 받은 감명을 주관적으로 표현한 순음악이라고 할 수 있다.

제2악장 Andante molto mosso. ‘시냇가의 정경’. 현악기의 유려한 선율로 끝임 없이 흘러가는 시냇물을 그리는 듯한 인상을 주는 2악장은 그 푸근한 정서 때문에 이 작품 가운데서 가장 많은 사랑을 받는 악장이다.

싱그러운 색채감으로 가슴을 푸근하게 하는 유려한 선율과 화성은 자연의 품에 안긴 듯한 편안함을 준다. 물의 흐름과 전원의 고즈넉한 풍경을 그리기 위해 베토벤은 이 악장에서 특별히 8분의 12박자를 채택하고 있다.

코다 부분에서는 플루트, 오보에, 클라리넷 등 관악기들이 각각 나이팅게일, 메추라기, 뻐꾸기의 소리를 모방하고 있다. 하지만 이 명백한 새소리의 묘사마저도 표제적인 느낌으로 다가오지는 않는다.

13. Beethoven : Symphony No.5 c minor Op.67 'Schicksall' 1st.Mov. Allegro con molto

이 곡이 [운명]이라는 별칭으로 널리 알려진 까닭은 다음과 같은 에피소드 때문이다. 그의 제자이며 베토벤의 전기(傳記)로서 유명한 신틀러가, 하루는 이 곡의 제1악장 서두에 나오는 주제의 뜻을 물었더니 베토벤은, "운명은 이렇게 문을 두드린다"하면서, 힘찬 몸짓까지 하였다고 한다.

그 뒤에 이 교향곡은 [운명]이라는 참으로 극적(劇的)인 제목으로 불리게 되었고, 또 그것이 인기를 높이는 큰 원인이 되고 말았다.

물론 그것은 베토벤의 비통한 생애와 너무나도 잘 통하는 말인 때문이기는 하지만, 그런데 이 [다다다다-] 하고 두드리는 동기(動機)는, 베토벤이 비인의 공원을 산책하다가 들은 새소리를 소재로 한 것이라고 하지만, 그가 새삼스럽게 발명해 낸 것은 아니다.

교향곡 속에서 하이든이나 모차르트도 이미 썼던 것이다. 게다가 이 4개 음부(音符)의 움직임이라는 것이,실은 아무 변화도 가락도 없는, 말하자면 아무 데나 뒹굴고 있는 돌무더기같은 것이어서, 그것만으로는 아무 가치도 없는 것이다. 그런데 그것이 훌륭한 계산에 의해, 전곡을 통하여 완벽한 구성을 보이는 것이다. 그리고 그것이 극적(劇的)인 장대(壯大)한 음의 확산(擴散)이 되어서 만인을 한결같이 감격케 한다. 정히 하나의 경이(驚異)라 아니할 수 없다.

제1악장 Allegro con brio : 네 개의 음으로 된 그 유명한 제1주재가 힘차게 연주된다. 이 것은 남성적이고 장쾌하고 호방하다. 이 주재는 여러 모양으로 변형되어 나타나면서 곡은 클라이맥스로 향하여 박진감이 더해진다. 호른 독주의 브릿지에 이어 바이올린, 클라리넷, 풀륫이 차례로 제2 주재를 부드럽게 연주한다. 보통 제1주재가 남성적이면 제2주재는 여성적이고 부드럽게 구성되어 조화를 이루어 나간다.

발전부에서는 화려한 음색의 호른의 연주에서 시작하여 시종일관 숨 쉴 틈도 주지 않고 주재는 종횡무진한 활약을 거듭하여 드디어 최고의 정점에서 재현부로 이어진다. 매력적인 오보의 Adagio 연주가 잠간 휴식감을 주고는 다시 박진감을 더하여 나가다가 화려한 코다로 장엄한 끝마침을 한다.

14. Handel : Halleluya from Oratorio 'Messiah'

헨델의 대표적인 이 메시아는 1742년 4월 23일 더블린에서 초연되었다. 메시아란 말은 구세주라는 뜻이나 본래는 기름을 부은 자란 뜻인데, 그것이 다시 신으로 부터 선택을 받은 자 혹은 괴로운 자를 해방하는 자 등의 뜻으로 쓰이게 되었다.

물론 여기서는 예수 그리스도를 말하는 것이다. 이 작품이 런던에서 초연되었을 때 영국의 국왕인 조지2세가 참석하였는데 〈할레루야 코러스〉부분에서 몹시 감동하여 기립했다고 하는 유명한 일화가 있으며, 오늘날에도 그 대목에서는 전원이 기립하는 습관이 남아 있다.

제1부〔예언과 탄생〕- 전체적으로 맑고 온화한 분위기가 지배하고 있다.
제2부〔수난과 속죄〕- 예수의 복음의 선포와 그 최후의 승리를 이야기 합니다 - 할렐우야 코러스
제3부〔부활과 영원한 생명〕 - 굳은 신앙의 고백으로 시작하여 영생의 찬미로 끝난다. (우리는 아느니 속죄자의 영생을 .....〕최후에 아멘의 코러스로 끝난다.

15. T. Badarzewska : The Malden's Prayer

폴란드 피아니스트 T. 바다르체프스카가 작곡한 피아노소품. 그녀는 1834년 바르샤바에서 출생하였으며, 61년에 27세의 짧은 일생을 마친 아마추어음악가였지만 이 한 곡으로 음악사에 이름을 남기게 되었다.

1856년에 바르샤바, 59년에 파리에서 출판된 《소녀의 기도》는 제목이 매력적이며, 연주에 어려운 기교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대호평을 받았다. 이후 세계에서 가장 친숙해진 피아노곡이 되었다. 19세기 살롱음악의 특징을 갖춘 작품이다.

이 곡은 아름답고 또 엄숙한 살롱풍의 피아노 곡으로, 안톤 체호프의 대표적인 희곡 "세자매"중 마지막 막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작곡 배경이나 연대는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고 있는데 그 이유 역시 설명되거나 거론된 일이 없다. 어렵고 힘겨운 현실 속의 삶을 뒤로한 채 새로운 희망을 찾아 모스크바로 향하려 하는 소녀 이리나의 새 세계에 대한 갈망어린 기도를 진지하게, 그리고 아름답게 표현한 것이 이 곡의 특징이다.

아르페지오의 특성 역시 잘 살리고 있는데 전체적으로 변주곡 형식을 띄고 있다.